본문 바로가기
2012.08.20 11:17

묫자리 / 묏자리

조회 수 1236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묫자리 / 묏자리

얼마 안 있으면 한가위다. 한가위를 앞두고 성묘(省墓)하러 가는 차들로 주말이면 고속도로가 몸살을 앓는다. 주로 설이나 추석, 한식(寒食)에 조상의 산소를 찾아가 살피고 돌보는 일을 성묘라고 하는데, 이는 우리의 중요한 관습 중 하나다.

 묘(墓)의 순 우리말은 뫼다. 뫼는 사람의 무덤을 말한다. 무덤은 송장이나 유골을 땅에 묻어 놓은 곳을 가리킨다. 무덤과 같은 뜻의 단어로는 분묘(墳墓), 유택(幽宅), 음택(陰宅) 등이 있다. 산소(山所)는 뫼를 높여 부르는 말이다. 그런데 이 뫼를 쓸 자리를 이를 때 “이번 한국 방문에서 그녀는 남편이 자신의 묘자리로 그토록 원했던 통영의 바다가 보이는 언덕을 홀로 둘러볼 작정이다” “아파트와 통장을 아내 명의로 돌렸어. 그러고 나선 묫자리를 보러 다녔지” “운명을 다스리는 묫자리”처럼 ‘묘자리’ ‘묫자리’를 사용하는 예가 흔하다. 이 ‘묘자리’ ‘묫자리’는 표준어가 아니다. ‘묫자리’는 ‘못자리’(볍씨를 뿌려 모를 기르는 곳)의 제주 방언이다. ‘뫼를 쓸 자리’를 가리키는 정확한 단어는 ‘묏자리’다. 또 ‘산’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로 ‘메’가 있는데―평안 방언인 ‘뫼’도 있다―이를 ‘뫼’(무덤)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예전에는 어르신들께서 생전에 자신이 죽어서 묻힐 자리, 즉 묏자리를 준비하고 또 직접 보고 싶어 하셨다. 죽음에 대한 어르신들의 태도를 짐작해 볼 수 있는 한 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14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6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660
2930 괄세, 섭하다 바람의종 2010.02.21 12359
2929 맨들맨들, 반들반들, 번들번들, 미끌, 미끈 바람의종 2009.11.03 12357
2928 곤죽 風磬 2006.09.29 12347
2927 륙, 육 바람의종 2011.10.27 12342
2926 끄적, 끼적, 깔짝, 깨작 바람의종 2010.05.30 12342
2925 광안리 바람의종 2012.04.19 12326
2924 고개를 떨구다 바람의종 2008.11.20 12311
2923 삼십육계 줄행랑 바람의종 2008.01.16 12306
2922 처리뱅이 바람의종 2011.11.24 12289
2921 ‘-든지’는 선택,‘-던지’는 회상 바람의종 2010.03.17 12288
2920 끊기다 바람의종 2011.05.01 12277
2919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바람의종 2010.04.19 12272
2918 의사와 열사 바람의종 2012.03.02 12268
2917 어깨를 걸고 나란히 바람의종 2009.12.01 12266
2916 드론 바람의종 2012.10.15 12265
2915 걸판지게 놀다 바람의종 2012.05.09 12252
2914 마린보이 바람의종 2012.08.13 12250
2913 한자의 두음, 활음조 바람의종 2010.04.26 12247
2912 개쓰레기 바람의종 2012.10.05 12243
2911 자기 개발 / 자기 계발 바람의종 2011.11.24 12237
2910 저지 바람의종 2010.04.18 12232
2909 내부치다, 내붙이다 바람의종 2010.11.05 122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