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8.20 11:17

묫자리 / 묏자리

조회 수 1241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묫자리 / 묏자리

얼마 안 있으면 한가위다. 한가위를 앞두고 성묘(省墓)하러 가는 차들로 주말이면 고속도로가 몸살을 앓는다. 주로 설이나 추석, 한식(寒食)에 조상의 산소를 찾아가 살피고 돌보는 일을 성묘라고 하는데, 이는 우리의 중요한 관습 중 하나다.

 묘(墓)의 순 우리말은 뫼다. 뫼는 사람의 무덤을 말한다. 무덤은 송장이나 유골을 땅에 묻어 놓은 곳을 가리킨다. 무덤과 같은 뜻의 단어로는 분묘(墳墓), 유택(幽宅), 음택(陰宅) 등이 있다. 산소(山所)는 뫼를 높여 부르는 말이다. 그런데 이 뫼를 쓸 자리를 이를 때 “이번 한국 방문에서 그녀는 남편이 자신의 묘자리로 그토록 원했던 통영의 바다가 보이는 언덕을 홀로 둘러볼 작정이다” “아파트와 통장을 아내 명의로 돌렸어. 그러고 나선 묫자리를 보러 다녔지” “운명을 다스리는 묫자리”처럼 ‘묘자리’ ‘묫자리’를 사용하는 예가 흔하다. 이 ‘묘자리’ ‘묫자리’는 표준어가 아니다. ‘묫자리’는 ‘못자리’(볍씨를 뿌려 모를 기르는 곳)의 제주 방언이다. ‘뫼를 쓸 자리’를 가리키는 정확한 단어는 ‘묏자리’다. 또 ‘산’을 예스럽게 이르는 말로 ‘메’가 있는데―평안 방언인 ‘뫼’도 있다―이를 ‘뫼’(무덤)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예전에는 어르신들께서 생전에 자신이 죽어서 묻힐 자리, 즉 묏자리를 준비하고 또 직접 보고 싶어 하셨다. 죽음에 대한 어르신들의 태도를 짐작해 볼 수 있는 한 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6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1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927
2930 당부 바람의종 2008.11.02 6699
2929 니카마! 바람의종 2008.11.03 6214
2928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703
2927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829
2926 원숭이 바람의종 2008.11.13 6970
2925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4 5509
2924 너랑 나랑 바람의종 2008.11.15 7692
2923 오마이 바람의종 2008.11.16 5776
2922 빵, 카스텔라 바람의종 2008.11.18 6225
2921 명분 바람의종 2008.11.19 4503
2920 괴기라미 떡이라미 바람의종 2008.11.20 6639
2919 방마치 바람의종 2008.11.21 6710
2918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6022
2917 바람의종 2008.11.22 6119
2916 국민 바람의종 2008.11.23 4573
2915 이랑마랑 바람의종 2008.11.24 5516
2914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10209
2913 잠바 바람의종 2008.11.25 7529
2912 여우 바람의종 2008.11.26 5543
2911 충분 바람의종 2008.11.26 6205
2910 죽이란대두 바람의종 2008.11.27 7640
2909 더펄이 바람의종 2008.11.29 77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