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8.20 11:15

바람

조회 수 9279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바람


일기예보에서 “북서풍의 영향으로…” “남서풍에 의해…”와 같은 표현이 자주 등장하듯이 대부분 동서남북의 방위에 맞춰 바람의 이름을 부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람을 이르는 말에는 한자어만 있는 게 아니다. 순 우리말로도 예쁜 낱말이 있다.

 동풍은 ‘샛바람’, 서풍은 ‘갈바람’, 남풍은 ‘마파람’, 북풍은 ‘된바람, 덴바람’이 순 우리말 표현이다. 우리말 바람 이름은 원래 바다에서 고기를 잡는 사람들에 의해 불리던 뱃사람들의 은어였다고 한다. 서풍은 익히 알고 있듯이 ‘하늬바람’이라고도 불린다. ‘갈바람’이 뱃사람들에 의해 주로 불리던 이름이라면, ‘하늬바람’은 농촌과 어촌에서 많이 불렸다고 한다.

 더욱 세분화된 ‘남서풍’ ‘북서풍’ 등도 우리말 표현을 찾아볼 수 있다. 남서풍은 ‘늦하늬바람’, 북서풍은 ‘높하늬바람’, 북동풍은 ‘높새바람’, 동남풍은 ‘된마파람’이다.

 순 우리말로 된 아름다운 이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식적 표현에서 “높하늬바람의 영향으로…” “늦하늬바람에 의해…”라고 쓰지 않는 건 ‘북서풍’ ‘남서풍’과 같이 방위가 들어 있는 바람의 이름이 더욱 명확하게 와 닿기 때문이다. 하지만 쓰다 보면 익숙해진다. 가능하면 아름다운 순 우리말을 살려 쓰도록 노력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68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2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270
1478 박물관은 살아있다 2 바람의종 2012.12.10 23824
1477 박물관은 살아있다 바람의종 2012.11.30 18446
1476 바투 바람의종 2010.11.10 14074
1475 바통 바람의종 2009.10.02 8908
1474 바캉스, 다이어트 바람의종 2008.08.04 7204
1473 바캉스 바람의종 2008.02.12 7324
1472 바치다,받치다,받히다 바람의종 2010.04.19 13216
1471 바지선 바람의종 2010.05.17 11330
1470 바이크 바람의종 2009.09.21 7966
1469 바이러스 바람의종 2012.12.04 17215
1468 바우덕이 바람의종 2009.03.16 6681
1467 바스크말 바람의종 2008.02.12 6758
1466 바쁘다 바람의종 2008.03.28 5668
1465 바바리 바람의종 2009.03.23 7537
1464 바래, 바라 바람의종 2009.04.13 9736
1463 바람피다 걸리면? 바람의종 2011.12.30 11987
1462 바람직안해 바람의종 2009.10.28 7511
1461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250
1460 바람 바람의종 2008.04.04 5953
» 바람 바람의종 2012.08.20 9279
1458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23
1457 바라+겠 바람의종 2009.06.30 63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