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8.20 11:15

바람

조회 수 9287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바람


일기예보에서 “북서풍의 영향으로…” “남서풍에 의해…”와 같은 표현이 자주 등장하듯이 대부분 동서남북의 방위에 맞춰 바람의 이름을 부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람을 이르는 말에는 한자어만 있는 게 아니다. 순 우리말로도 예쁜 낱말이 있다.

 동풍은 ‘샛바람’, 서풍은 ‘갈바람’, 남풍은 ‘마파람’, 북풍은 ‘된바람, 덴바람’이 순 우리말 표현이다. 우리말 바람 이름은 원래 바다에서 고기를 잡는 사람들에 의해 불리던 뱃사람들의 은어였다고 한다. 서풍은 익히 알고 있듯이 ‘하늬바람’이라고도 불린다. ‘갈바람’이 뱃사람들에 의해 주로 불리던 이름이라면, ‘하늬바람’은 농촌과 어촌에서 많이 불렸다고 한다.

 더욱 세분화된 ‘남서풍’ ‘북서풍’ 등도 우리말 표현을 찾아볼 수 있다. 남서풍은 ‘늦하늬바람’, 북서풍은 ‘높하늬바람’, 북동풍은 ‘높새바람’, 동남풍은 ‘된마파람’이다.

 순 우리말로 된 아름다운 이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식적 표현에서 “높하늬바람의 영향으로…” “늦하늬바람에 의해…”라고 쓰지 않는 건 ‘북서풍’ ‘남서풍’과 같이 방위가 들어 있는 바람의 이름이 더욱 명확하게 와 닿기 때문이다. 하지만 쓰다 보면 익숙해진다. 가능하면 아름다운 순 우리말을 살려 쓰도록 노력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2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55
1984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17
1983 뽀록나다 바람의종 2009.03.17 8234
1982 넉넉지/넉넉치 바람의종 2009.03.17 14560
1981 떠벌리다/떠벌이다 바람의종 2009.03.17 10677
1980 상서롭다/상스럽다 바람의종 2009.03.17 27884
1979 바람의종 2009.03.18 5199
1978 옳은 말씀 바람의종 2009.03.18 7863
1977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292
1976 아니예요 바람의종 2009.03.18 6740
1975 추파와 외도 바람의종 2009.03.18 7849
1974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14
1973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167
1972 바바리 바람의종 2009.03.23 7544
1971 ~까지, ~조차, ~마저 바람의종 2009.03.23 11542
1970 웃긴, 웃기는 바람의종 2009.03.23 8227
1969 주접떨다, 주접든다 바람의종 2009.03.23 18753
1968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18
1967 과반수 바람의종 2009.03.24 8298
1966 저 버리다, 져 버리다, 처 버리다 쳐 버리다 바람의종 2009.03.24 22235
1965 번지르한, 푸르른 바람의종 2009.03.24 7663
1964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376
1963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4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