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8.20 11:15

바람

조회 수 933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바람


일기예보에서 “북서풍의 영향으로…” “남서풍에 의해…”와 같은 표현이 자주 등장하듯이 대부분 동서남북의 방위에 맞춰 바람의 이름을 부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람을 이르는 말에는 한자어만 있는 게 아니다. 순 우리말로도 예쁜 낱말이 있다.

 동풍은 ‘샛바람’, 서풍은 ‘갈바람’, 남풍은 ‘마파람’, 북풍은 ‘된바람, 덴바람’이 순 우리말 표현이다. 우리말 바람 이름은 원래 바다에서 고기를 잡는 사람들에 의해 불리던 뱃사람들의 은어였다고 한다. 서풍은 익히 알고 있듯이 ‘하늬바람’이라고도 불린다. ‘갈바람’이 뱃사람들에 의해 주로 불리던 이름이라면, ‘하늬바람’은 농촌과 어촌에서 많이 불렸다고 한다.

 더욱 세분화된 ‘남서풍’ ‘북서풍’ 등도 우리말 표현을 찾아볼 수 있다. 남서풍은 ‘늦하늬바람’, 북서풍은 ‘높하늬바람’, 북동풍은 ‘높새바람’, 동남풍은 ‘된마파람’이다.

 순 우리말로 된 아름다운 이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식적 표현에서 “높하늬바람의 영향으로…” “늦하늬바람에 의해…”라고 쓰지 않는 건 ‘북서풍’ ‘남서풍’과 같이 방위가 들어 있는 바람의 이름이 더욱 명확하게 와 닿기 때문이다. 하지만 쓰다 보면 익숙해진다. 가능하면 아름다운 순 우리말을 살려 쓰도록 노력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5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2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847
1984 사근사근하다 風磬 2006.12.26 8194
1983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194
1982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195
1981 금지옥엽 바람의종 2007.10.31 8195
1980 버들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4.10 8196
1979 삿갓봉과 관악산 바람의종 2008.03.16 8198
1978 삼복더위 바람의종 2009.03.04 8198
1977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8199
1976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204
1975 분노와 대로 바람의종 2010.08.06 8206
1974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209
1973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8211
1972 면목 바람의종 2007.07.01 8212
1971 아메리카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8.02.20 8213
1970 극동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14 8216
1969 무꾸리 風磬 2006.11.26 8216
1968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217
1967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218
1966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221
1965 ~에게, ~와 바람의종 2010.05.28 8224
1964 ‘자꾸’와 ‘지퍼’ 바람의종 2008.12.18 8225
1963 이견을 좁히다 바람의종 2008.12.06 82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