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7.23 10:33

시도하다

조회 수 858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시도하다

요즘 특이한 말버릇 가운데 하나가 '~을 시도하다'는 표현이다. 특히 축구 중계방송을 하면서 "역습을 시도한다는 전략이다" "직접 슈팅을 시도했더라면 좋았을 뻔했다" "중거리 슛을 시도해 보는 것도 괜찮겠다" "선수 교체를 시도해봄 직하다" 등처럼 '시도'라는 말을 많이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시도(試圖)'는 한자어로 어떤 것을 이루어 보려고 계획하거나 행동하는 것을 뜻한다. "몇 번 시도한 끝에 겨우 성공했다" "이번 일은 시도 자체가 무리였다" 등과 같이 쓰인다. '시도'는 어려운 용어도 아니고 또 실제로 널리 쓰이는 말이라 그 자체를 문제 삼을 수는 없다. 다만 남용하는 게 문제다.

"직접 슈팅을 시도했더라면~" "선수 교체를 시도해봄 직하다"에서는 '시도'가 아예 불필요한 말이다. '시도'가 끼어들 여지가 별로 없다. "직접 슈팅을 했더라면~" "선수 교체를 해봄 직하다"로 충분하며, 오히려 이게 정확한 표현이다. "역습을 시도한다는~"은 "역습을 노린다는~"이 적절한 표현이다.

'시도하다'가 이처럼 남용되는 데는 영어를 배우면서 익숙해진 'try~'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영어에서는 우리말의 '시도하다'에 해당하는 'try'가 '노력하다' '(실제로, 시험 삼아) 해 보다' '도전해 보다' 등 여러 가지 의미로 두루 쓰이고 있다. 그만큼 영어에서는 'try'의 사용 빈도가 높다.

'시도'란 말을 많이 사용하는 것은 '시도'라는 한자어를 섞어 표현하는 것이 자신의 말에 무언가 무게를 준다고 생각하거나 영어의 'try~'를 무의식적으로 흉내 낸 결과다. '시도'를 넣는다고 말의 품위가 올라가는 게 아니다. 남용해 온 탓에 오히려 진부하게 느껴질 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90
1786 총각김치 바람의종 2008.09.04 8583
»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583
1784 햇빛, 햇볕 바람의종 2008.07.24 8584
1783 부락, 마을, 동네 바람의종 2010.05.10 8585
1782 과 / 와 바람의종 2010.08.27 8585
1781 애리애리 바람의종 2008.07.01 8586
1780 ~상(上) 줄여쓰기 바람의종 2009.09.21 8587
1779 '난'과 '란' 바람의종 2008.06.17 8588
1778 뇌졸증/뇌졸중 바람의종 2008.09.02 8588
1777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591
1776 딤섬 바람의종 2010.01.15 8591
1775 외동이, 외둥이 바람의종 2009.05.09 8591
1774 결단, 결딴 바람의종 2008.09.26 8592
1773 허버지게 바람의종 2009.08.03 8597
1772 삼수갑산을 가다 바람의종 2008.01.16 8598
1771 어미 ‘-우’ 바람의종 2010.07.30 8602
1770 물럿거라, 엊저녁, 옜소, 밭사돈 바람의종 2008.11.29 8602
1769 깡총깡총 / 부조 바람의종 2009.08.27 8603
1768 대충 風磬 2006.11.06 8607
1767 겁나 바람의종 2009.07.31 8608
1766 도레미파솔라시 바람의종 2010.01.27 8611
1765 자화자찬 바람의종 2007.12.18 86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