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7.16 10:21

가능한 / 가능한 한

조회 수 10466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가능한 / 가능한 한

'빨리빨리 문화'가 한국의 경쟁력이라는 얘기가 있다. '빨리빨리'는 모든 일을 급하게 처리하려는 한국의 민족성을 대표하는 단어로 세계에 널리 알려졌다.

"가능한 빨리 마무리하라/ 가능한 빨리 대답하라/ 가능한 빨리 마련하라/ 가능한 빨리 자격증을 따고 싶다/ 가능한 빨리 내보내려고 한다" 등의 말이 널리 쓰이는 것에서도 '빨리빨리 문화'의 현상을 찾아볼 수 있다. "가능한 쉽게 쓰려고 했다/ 가능한 쉽게 출제했다"처럼 '가능한 쉽게'도 자주 잘못 쓰이고 있는 표현 중 하나다.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가능한 빨리(쉽게)'라는 표현은 우리말 어법에 어긋난다. '가능한 한(限) 빨리(쉽게)'로 써야 옳다. '가능한'은 '가능하다'의 관형사형으로 "가능한 일/ 가능한 수단/ 가능한 것"처럼 그 뒤에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이 와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가능한 한'은 '가능한 범위 안에서, 가능한 조건 아래서'를 뜻하는 부사구이다. 그러므로 그 뒤에 '가능한 한 빨리(쉽게)'처럼 '빨리(쉽게)'라는 부사나, '가능한 한 갈게'처럼 '가다'라는 동사가 와야 한다.

일을 '가능한 한'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니다. '빨리빨리'의 이면에는 '대충'이라는 부정적인 뜻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빨리빨리 문화'의 긍정적인 면을 살린다면 국가 경쟁력이 될 수도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8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5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376
3194 십리도 못 가서 발병이 난다 바람의종 2009.05.01 14693
3193 쌩얼, 민낯, 맨얼굴, 민얼굴 바람의종 2011.12.05 14687
3192 ‘가로뜨다’와 ‘소행’ 바람의종 2010.07.09 14678
3191 훈민정음 반포 565돌 바람의종 2011.11.20 14674
3190 번번이 / 번번히 바람의종 2012.05.07 14670
3189 넉넉지/넉넉치 바람의종 2009.03.17 14628
3188 할려고? 하려고? 바람의종 2010.07.25 14585
3187 괄괄하다 風磬 2006.09.29 14585
3186 뇌살, 뇌쇄 / 다례, 차례 / 금슬, 금술, 금실 / 귀절, 구절 바람의종 2010.03.24 14582
3185 함께하다/ 함께 하다, 대신하다/ 대신 하다 바람의종 2009.03.29 14580
3184 진이 빠지다 바람의종 2008.01.30 14562
3183 어깨 넘어, 어깨너머 바람의종 2009.08.01 14519
3182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507
3181 널빤지, 널판지, 골판지 바람의종 2009.09.23 14505
3180 담갔다, 담았다, 담그다 바람의종 2010.11.10 14503
3179 하꼬방 바람의종 2011.11.30 14490
3178 겸연쩍다, 멋쩍다, 맥쩍다 바람의종 2009.07.25 14489
3177 옛부터? 바람의종 2010.03.19 14447
3176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4442
3175 되바라지다 風磬 2006.11.16 14422
3174 며늘아기, 며늘아가 바람의종 2010.08.06 14421
3173 십상이다 바람의종 2010.08.11 144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