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7.16 10:21

가능한 / 가능한 한

조회 수 10523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가능한 / 가능한 한

'빨리빨리 문화'가 한국의 경쟁력이라는 얘기가 있다. '빨리빨리'는 모든 일을 급하게 처리하려는 한국의 민족성을 대표하는 단어로 세계에 널리 알려졌다.

"가능한 빨리 마무리하라/ 가능한 빨리 대답하라/ 가능한 빨리 마련하라/ 가능한 빨리 자격증을 따고 싶다/ 가능한 빨리 내보내려고 한다" 등의 말이 널리 쓰이는 것에서도 '빨리빨리 문화'의 현상을 찾아볼 수 있다. "가능한 쉽게 쓰려고 했다/ 가능한 쉽게 출제했다"처럼 '가능한 쉽게'도 자주 잘못 쓰이고 있는 표현 중 하나다.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가능한 빨리(쉽게)'라는 표현은 우리말 어법에 어긋난다. '가능한 한(限) 빨리(쉽게)'로 써야 옳다. '가능한'은 '가능하다'의 관형사형으로 "가능한 일/ 가능한 수단/ 가능한 것"처럼 그 뒤에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이 와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가능한 한'은 '가능한 범위 안에서, 가능한 조건 아래서'를 뜻하는 부사구이다. 그러므로 그 뒤에 '가능한 한 빨리(쉽게)'처럼 '빨리(쉽게)'라는 부사나, '가능한 한 갈게'처럼 '가다'라는 동사가 와야 한다.

일을 '가능한 한'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니다. '빨리빨리'의 이면에는 '대충'이라는 부정적인 뜻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빨리빨리 문화'의 긍정적인 면을 살린다면 국가 경쟁력이 될 수도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0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6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331
2380 떼어논 당상 바람의종 2008.01.04 10469
2379 거시기 바람의종 2011.11.14 10468
2378 와중 바람의종 2010.11.05 10467
2377 속풀이 바람의종 2010.11.03 10467
2376 윽박 바람의종 2008.01.18 10464
2375 냄새, 내음 바람의종 2010.08.25 10460
2374 쌍벽 바람의종 2010.08.17 10449
2373 햇빛은 눈부시고,햇볕은 뜨겁다 바람의종 2010.03.10 10445
2372 장가들다 바람의종 2007.03.22 10444
2371 꾀하다, 꽤, 꿰고 바람의종 2009.03.31 10438
2370 이제나저제나 바람의종 2010.03.10 10437
2369 엄청 바람의종 2010.03.26 10431
2368 말짱 황이다 바람의종 2008.02.23 10429
2367 ‘곧은밸’과 ‘면비교육’ 바람의종 2010.04.26 10427
2366 파티쉐 바람의종 2009.09.18 10422
2365 아줌마 바람의종 2010.05.09 10417
2364 수리수리마수리 바람의종 2008.02.16 10412
2363 ~ ㄴ걸 / ~ ㄹ 걸 바람의종 2008.12.11 10411
2362 송곳니 바람의종 2010.08.11 10408
2361 띄어스기 - "지" 바람의종 2008.10.23 10403
2360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402
2359 예산 타령 바람의종 2010.10.16 103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