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7.06 13:10

벗기다 / 베끼다

조회 수 1271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벗기다 / 베끼다

'끝이 없는 새로운 매력을 지닌 사람'을 표현할 때 "베껴도 베껴도 속을 모르는 양파 같다"고 말하곤 한다. 그러나 양파의 껍질을 '베껴'서는 양파 같은 이의 진정한 매력을 알 수 없다. 흔히 '벗겨 내다'는 의미를 나타내고자 할 때 "아이의 옷을 베꼈다" "묵은 때를 베껴 냈다"와 같이 '베끼다'를 사용하지만 이는 "아이의 옷을 벗겼다" "묵은 때를 벗겨 냈다"의 잘못된 표현이다.

'벗기다'는 "옷을 벗기다" "안경을 벗기다"에서와 같이 '몸 일부의 물건을 떼어 놓게 하다', "양파 껍질을 벗길 땐 눈물이 난다"에서와 같이 '가죽이나 껍질 따위를 떼어 내다', "때를 벗기다" "칠을 벗기다"에서처럼 '거죽을 긁어내다', "뚜껑을 벗기다"에서와 같이 '씌운 것을 열거나 걷어내다', "바다의 신비를 벗기다"에서처럼 '감추어진 것이 드러나게 하다', "이런 사대부쯤 벗겨 먹기는 식은 죽 먹기지"에서처럼 '남의 물건 따위를 뜯어내다' 등의 의미로 쓰인다.

'베끼다'는 "친구의 숙제를 베끼다" "고흐의 그림을 베껴 그렸다" "책 한 권을 몽땅 베껴 본 적이 있다"에서와 같이 '글이나 그림 따위를 원본 그대로 옮겨 쓰거나 그리다'는 뜻으로만 사용된다. 양파 껍질을 아무리 '베껴' 봐야 그 매력을 알 수 없다. 양파 껍질을 '벗겨' 봐야 벗겨도 벗겨도 새로운 속살을 드러내는 양파의 진정한 매력을 느낄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6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3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093
2996 중화사상 바람의종 2007.12.21 9516
2995 사람 바람의종 2007.12.21 6905
2994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567
2993 지도 편달 바람의종 2007.12.22 36060
2992 천편일률 바람의종 2007.12.22 7416
2991 주머니차 바람의종 2007.12.22 7708
2990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5994
2989 풍비박산 바람의종 2007.12.23 10229
2988 피로 회복 바람의종 2007.12.23 10305
2987 누다와 싸다 바람의종 2007.12.23 7943
2986 깍두기 바람의종 2007.12.23 6815
2985 함흥차사 바람의종 2007.12.24 12071
2984 혈혈단신 바람의종 2007.12.24 7751
2983 된장녀 바람의종 2007.12.24 7013
2982 언어 대국, 인도 바람의종 2007.12.24 7469
2981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916
2980 거덜이 나다 바람의종 2007.12.26 9673
2979 웃음 바람의종 2007.12.26 7654
2978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6217
2977 걸신들리다 바람의종 2007.12.27 12587
2976 경을 치다 바람의종 2007.12.27 13508
2975 벵갈말 바람의종 2007.12.27 67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