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7.05 13:29

폭염

조회 수 873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폭염

늦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입추(立秋)와 말복(末伏)을 지나고,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불어온다는 처서(處暑)를 넘겼음에도 더위는 꺾일 줄 모르고 있다. 무더위.불볕더위보다 폭염(暴炎)이란 말이 어울리는 날씨다. 남부 지방은 아직도 35도 이상의 폭염이 계속되고 있다. '폭염'이란 말이 올해 들어 특히 많이 쓰이는 것은 유난히 덥기도 하지만 기상청이 폭염 특보제를 도입했기 때문이다. 올해 시험 운영을 거쳐 내년 정식으로 시행한다. 폭염 특보는 하루 최고기온과 열지수를 기준으로 발령한다. 열지수란 기온이 26.7도 이상, 습도가 40% 이상일 때 사람들이 열로 인해 받는 스트레스를 수치화한 것이다. 하루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열지수 32도 이상)인 날이 이틀 이상 지속될 때 폭염주의보를, 최고기온이 35도 이상(열지수 41도 이상)인 날이 이틀 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폭염경보를 발령한다.

한자어인 '폭염'은 무더위.불볕더위를 넘어서는 개념으로 생각되지만 사전적으로 그 이상의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국립국어원은 '폭염' '폭서'를 어려운 한자어라고 해서 '된더위' '불볕더위'로 바꿔 쓰라고 권하고 있다. 그러나 폭우.폭설 등 '폭(暴)'이 들어간 다른 단어에서 보듯 '폭염'은 '된더위' '불볕더위'보다 강한 어감을 주는 게 사실이다. '폭염'을 '된더위' '불볕더위'로 일반화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5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95
1764 청설모 바람의종 2009.08.07 8745
1763 안 해, 안돼 바람의종 2009.08.06 7759
1762 인상착의, 금품수수 바람의종 2009.08.06 7486
1761 얇다, 가늘다 바람의종 2009.08.06 14374
1760 아이스께끼 바람의종 2009.08.06 9595
1759 삽사리 바람의종 2009.08.06 5837
1758 사리 바람의종 2009.08.05 6788
1757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37
1756 '지'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05 9198
1755 솔찮이 짚어(깊어)! 바람의종 2009.08.05 7736
1754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38
1753 이루어지다, 이루다 바람의종 2009.08.04 9340
1752 우통 벗고 등물 바람의종 2009.08.04 10267
1751 발자욱, 발자국 바람의종 2009.08.04 12108
1750 오디새 바람의종 2009.08.04 8899
1749 스킨십 바람의종 2009.08.04 7328
1748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632
1747 할 게, 할게 바람의종 2009.08.03 9802
1746 장애, 장해 바람의종 2009.08.03 9434
1745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52
1744 허버지게 바람의종 2009.08.03 8597
1743 사날, 나달 바람의종 2009.08.02 66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