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451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나까채다, 나꿔채다, 낚아채다

매서운 눈을 가리켜 '독수리눈'이라고 한다. 실제 독수리는 사람보다 다섯 배 이상 시력이 발달돼 아주 멀리서도 사냥감을 찾아낸다. 게다가 상공에서 단숨에 하강해 먹이를 낚아챈다. 초점거리를 먼 곳의 사물에서 코앞의 사물로 재빠르게 바꿀 수 있는 줌렌즈 같은 눈을 갖고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동물들의 사냥술을 얘기할 때 '낚아채다'란 표현을 많이 쓴다. 그런데 "소리 없이 먹잇감을 나꿔채 기류를 타고 날아오르던 모습이 일품이던 솔개는 수십 년 전만 해도 흔한 새였다" "수달은 물속의 사냥꾼답게 물고기 한 마리를 나까채 순식간에 먹어 치운다"와 같이 표기 방법이 제각각이다. 남의 물건을 가로채거나 다른 사람의 말이 끝나자마자 받아 말하는 경우를 일컬을 때도 마찬가지다. "경찰은 현금이 든 가방을 나꿔채 달아나는 소매치기를 쫓았다" "그는 버릇처럼 말꼬리를 나까챘다"처럼 사용하고 있지만 '나꿔채다' '나까채다'는 바른 표현이 아니다. '낚아채다'라고 해야 맞다.

'낚아채다'는 무엇을 갑자기 붙들거나 추켜올리는 '낚다'와 갑자기 세게 잡아당기는 '채다'가 합쳐진 말로 가로채다.잡아채다는 뜻으로 주로 쓰인다. "송종국이 문전으로 날린 프리킥을 그는 마치 독수리가 먹이를 낚아채듯 달려들며 골로 연결했다" "우악스러운 손이 소년의 팔을 낚아챘다" "여자는 남자의 말을 낚아채듯 되받았다"와 같이 사용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81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4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095
2754 노닐다 바람의종 2010.08.25 11558
2753 황새울과 큰새 바람의종 2008.01.24 11553
2752 이팝나무 바람의종 2008.02.27 11548
2751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10.05.18 11543
2750 에너지 음료 바람의종 2012.06.15 11536
2749 처음처럼 바람의종 2010.11.01 11526
2748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516
2747 중뿔나게 바람의종 2007.05.22 11515
2746 아사리판 / 한용운 바람의종 2007.08.31 11511
2745 맛탕, 마탕 바람의종 2010.11.25 11507
2744 -지기 바람의종 2012.05.30 11506
2743 제왕절개 바람의종 2007.12.20 11504
2742 주어와 술어를 가까이 바람의종 2012.06.15 11492
2741 비속어 바람의종 2012.03.05 11489
2740 깍두기, 짠지, 섞박지 바람의종 2009.11.10 11485
2739 아다시피, 아시다시피, 알다시피 바람의종 2009.10.28 11482
2738 외래어의 된소리 표기 바람의종 2012.05.11 11479
2737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475
2736 울궈먹다 바람의종 2009.02.17 11472
2735 버스 대절해서 행선지로 바람의종 2012.01.07 11472
2734 아언각비 바람의종 2012.08.13 11469
2733 쇠고기와 소고기 바람의종 2010.05.08 114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