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6.22 16:03

집중호우 -> 장대비

조회 수 954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집중호우 -> 장대비

집중호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장마가 끝난 뒤 오히려 더 많은 비가 내리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7월 장마가 끝난 뒤 8월 10일까지 내린 비가 장마 기간에 내린 비의 두 배를 넘는다고 한다. 이렇게 많은 비가 내리는 경우 기상청은 '호우' '집중호우' '호우주의보' '호우경보' 등의 특보를 발령한다. 호우(豪雨)는 줄기차게 내리는 크고 많은 비를 뜻한다. 12시간 80㎜ 이상일 때 호우주의보가, 150㎜ 이상일 때 호우경보가 내려진다. 집중호우(集中豪雨)는 시간당 30㎜ 이상 되는 비를 말한다.

그러나 이들 용어는 의미가 쉽게 다가오지 않는다는 데 문제가 있다. '호우'에는 좋은 벗을 뜻하는 '호우(好友)', 때를 맞추어 알맞게 오는 비를 뜻하는 '호우(好雨)' 등 한글로는 발음이 같은 단어가 많아 혼란스럽다. '경보' 역시 가벼운 걸음으로 빨리 걷는 '경보(輕步)'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특히 '호우' '집중호우'는 우리가 원래 쓰지 않던 일본식 한자어다. 일본식 한자어다 보니 쉽게 다가오지 않을 수밖에 없다. '호우'는 '큰비', '집중호우'는 '장대비' 또는 '작달비'라는 순 우리말이 있다. 국립국어원도 '큰비'와 '장대비(작달비)'로 바꾸어 쓰는 것이 좋다고 사전에 올려 놓았다.

오래도록 써 온 용어를 바꾸기가 쉽지는 않지만 우선 일본식 한자어인 '호우'는 '큰비'로, '집중호우'는 '장대비'로 공식 용어를 바꾸는 작업이 있어야 한다. '주의보'와 '경보'도 다른 용어로 바꾸어 구분이 쉽도록 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9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6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430
2996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736
2995 실용글 바람의종 2008.08.11 4857
2994 논이·노리개 바람의종 2008.06.22 4879
2993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893
2992 아들아, 딸아? 바람의종 2008.06.09 4898
2991 숫컷, 숫소? 바람의종 2008.09.30 4927
2990 아니다라는 바람의종 2008.10.27 4928
2989 어떻게 바람의종 2008.10.23 4929
2988 늦잔이·잠이 바람의종 2008.07.18 5057
2987 숙제 바람의종 2007.07.28 5125
2986 노루 바람의종 2008.10.27 5183
2985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203
2984 바람의종 2008.09.26 5221
2983 자문 바람의종 2008.11.15 5234
2982 바람의종 2009.03.18 5236
2981 곤혹스런 바람의종 2008.07.28 5257
2980 애매모호 바람의종 2008.11.14 5258
2979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65
2978 ‘-도록 하다’ 바람의종 2008.09.04 5265
2977 부랴부랴 風磬 2006.12.20 5288
2976 겹말을 피하자(中) 바람의종 2008.05.08 5297
2975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3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