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5.04 16:47

입천장이 '데이다'

조회 수 14259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입천장이 '데이다'

뼛속까지 시원한 것을 찾게 되는 여름. 그러나 삼계탕 같은 뜨거운 음식을 즐겨 먹는 이도 많다. 흐르는 땀을 닦는 것으론 모자라 입천장까지 데어 가며 먹는 모습이 미련해 보일 수도 있지만 양기가 몸 밖으로 빠져나가기 쉬운 여름엔 속을 덥혀 주는 뜨끈뜨끈한 음식이 오히려 좋다고 한다.

불이나 뜨거운 기운으로 살이 상하는 것 또는 그렇게 하는 것을 '데다'라고 한다. 그런데 이를 '데이다'로 알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펄펄 끓는 찌개를 떠먹다가 혀가 데였어" "입천장이 데이는 줄도 모르고 뚝배기 한 그릇을 다 비웠다"와 같이 쓰고 있지만 '데었어' '데는'으로 고쳐야 맞다.

'데다'는 "남자한테 데일 만큼 데였어"처럼 '몹시 놀라거나 심한 괴로움을 겪어 진저리 나다'는 뜻으로도 사용한다. 이 역시 '데이다'를 기본형으로 알고 활용해서는 안 된다. "남자한테 델 만큼 데었어"가 올바른 표현이다.

예전에 '데이다'는 '데우다' '덥히다'의 의미로 쓰이기도 했지만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말이다. "식탁 위의 된장찌개를 데여 먹어라" "인삼은 몸을 데여 피를 잘 돌게 한다" "장마로 눅눅해진 방을 데이려고 군불을 지폈다"와 같이 사용하면 안 된다. '데워' '덥혀' '덥히려고'로 바로잡아야 한다.

주로 찬 액체나 식은 음식에 열을 가해 뜨겁게 하는 것은 '데우다', 방이나 몸의 온도를 높여 따뜻하게 하는 것은 '덥히다'를 써서 표현한다. "가슴을 훈훈하게 덥혀 주는 감동적인 실화다"처럼 '덥히다'는 마음.감정 등을 푸근하고 흐뭇하게 하다는 뜻으로도 사용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02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5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415
2710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631
2709 괴기라미 떡이라미 바람의종 2008.11.20 6632
2708 그리고 나서, 그리고는 바람의종 2008.09.07 6633
2707 한통속 바람의종 2007.04.23 6635
2706 뗑깡 바람의종 2008.02.10 6635
2705 어거지, 억지 바람의종 2008.11.19 6636
2704 먹고 잪다 바람의종 2009.07.10 6640
2703 작니?, 작으니? 바람의종 2008.09.27 6640
2702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641
2701 사날, 나달 바람의종 2009.08.02 6651
2700 괭이눈 바람의종 2008.03.01 6653
2699 은냇골 이야기 바람의종 2008.05.10 6653
2698 고라니 file 바람의종 2009.09.29 6653
2697 생사여탈권 바람의종 2008.11.03 6654
2696 부지깽이 風磬 2006.12.20 6655
2695 깜빠니야 바람의종 2008.06.27 6656
2694 숙맥 바람의종 2007.07.27 6656
2693 사파리 바람의종 2009.06.30 6660
2692 범꼬리 바람의종 2008.03.27 6664
2691 지름길 바람의종 2007.03.27 6664
2690 어떻게든 바람의종 2008.10.13 6665
2689 ~부터 시작 바람의종 2008.10.26 66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