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5.02 14:33

개고기 수육

조회 수 1167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개고기 수육


예년과 달리 올해는 더위가 유난히 일찍 찾아왔다. 초복이 아직 멀었는데도 '보신탕집'에는 손님의 발길이 부쩍 늘었다고 한다. 예부터 땀을 많이 흘려 허약해진 몸에 영양을 보충해 주는 여름 보양식으로 보신탕이 최고로 꼽히기 때문이다.

보신탕집에 가면 개고기를 여러 가지 양념, 채소와 함께 고아 끓인 국인 보신탕(개장국)뿐 아니라 개고기 무침과 개고기 수육 등이 있다. 그런데 '개고기 수육'이란 표기는 현행 국어사전의 뜻풀이로 보면 잘못이다. '삶은 개고기' 정도로 표현해야 옳다. '돼지고기 수육'도 마찬가지다. '삶은 돼지고기'라고 써야 한다.

사전에서는 '수육←숙육(熟肉)'을 '삶아 익힌 쇠고기'라고 풀이하고 있다. 쇠고기에만 '수육'을 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뜻풀이는 언어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 돼지고기 요리 중에 '돼지 머리 편육'이 있다. '편육'이 '얇게 저민 수육'을 일컫는다면 '돼지 머리 편육'도 잘못이다. 국립국어원에서도 이런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 번 사전에서 '수육'의 뜻풀이를 '삶아내어 물기를 뺀 고기'로 수정한다고 한다.

삶은 돼지고기를 김치 등과 함께 먹는 '보쌈'의 뜻풀이도 이해하기 어렵다. '삶아서 뼈를 추려 낸 소, 돼지 따위의 머리 고기를 보에 싸서 무거운 것으로 눌러 단단하게 만든 뒤 썰어서 먹는 음식'이라고 했는데 이 또한 언어 현실과 괴리가 있다. 이것 역시 보완이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4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475
2886 사겨, 사귀어, 부셔, 부숴 바람의종 2010.04.18 12110
2885 발자욱, 발자국 바람의종 2009.08.04 12108
2884 두껍다, 두텁다 바람의종 2010.08.19 12108
2883 혈혈단신 바람의종 2010.07.17 12102
2882 운영과 운용 바람의종 2010.03.04 12101
2881 봇물을 이루다 바람의종 2010.01.22 12089
2880 삐지다, 삐치다 바람의종 2008.12.28 12087
2879 여위다, 여의다 바람의종 2010.05.17 12075
2878 표식/표지, 성력/생력 바람의종 2010.09.03 12071
2877 개발과 계발 바람의종 2010.11.03 12062
2876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10.11.03 12061
2875 합사, 분사 바람의종 2010.07.25 12053
2874 쿠사리 바람의종 2010.04.26 12046
2873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2043
2872 사열 받다, 사사 받다, 자문 받다 바람의종 2009.05.26 12016
2871 오너라, 오거라, 가거라 바람의종 2009.11.12 12016
2870 빼다 박다, 빼쏘다, 빼박다 바람의종 2010.03.06 12012
2869 애먼 바람의종 2010.11.21 12005
2868 '간(間)'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27 12000
2867 바람피다 걸리면? 바람의종 2011.12.30 11997
2866 ‘-land’ 가 붙는 지명 표기 바람의종 2010.06.01 11994
2865 맞장구 치다 바람의종 2008.01.07 119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