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4.30 15:43

다 되다, 다되다

조회 수 9061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다 되다, 다되다

우리말 바루기의 독자라면 띄어쓰기 하나로도 단어의 의미가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다되다'와 '다 되다'는 띄어쓰기로 인해 의미가 180도 변하는 참 재미있는 낱말이다. '다'와 '되다'를 띄어 써서 '다 되다'고 하면 '모든 일을 마쳤다, 완성했다'는 의미가 되고, '다'와 '되다'를 붙여 써서 '다되다'고 하면 "이제 최 부잣집도 다된 집안이다" "이런 큰 뜻을 몰라 준다면 이젠 세상도 다된 거요"에서와 같이 '완전히 그르친 상태에 있다'는 뜻이 되니 말이다.

'다'는 일반적으로 "올 사람은 다 왔어" "줄 건 다 줬어"에서와 같이 '남거나 빠진 것 없이 모두'라는 의미로 쓰인다. 그러나 '다'는 "벼락치기로 시험 공부를 하자면 잠은 다 잤다" "비가 오니 소풍은 다 갔다"에서처럼 실현할 수 없게 된 앞일을 이미 이루어진 것처럼 반어적으로 나타내는 말로도 쓰인다.

'다'와 '되다'를 결합해 만든 단어 '다되다'가 '다 되다(모두 되다, 즉 모두 완성되다/이루어지다)'와 의미가 많이 다른 것은 '다되다'는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모두'라는 의미의 '다'가 아닌 반어적 용법의 '다'가 와서 '되다'와 결합했기 때문이다. 띄어쓰기라는 작은 차이 하나가 의미의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정도로 우리말의 세계는 복잡 미묘하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욱 매력적이지 않은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92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65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344
» 다 되다, 다되다 바람의종 2012.04.30 9061
575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719
574 단어를 쪼개지 말자 바람의종 2012.05.02 11394
573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63
572 허리를 곧게 피다 바람의종 2012.05.03 11858
571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53
570 소담하다, 소박하다 바람의종 2012.05.03 13881
569 종군위안부 바람의종 2012.05.04 10658
568 입천장이 '데이다' 바람의종 2012.05.04 14272
567 외래어 받침 표기법 바람의종 2012.05.07 16351
566 번번이 / 번번히 바람의종 2012.05.07 14688
565 걸판지게 놀다 바람의종 2012.05.09 12271
564 퀘퀘하다, 퀴퀴하다, 쾌쾌하다 바람의종 2012.05.09 34578
563 개연성/우연성/필연성 바람의종 2012.05.10 10613
562 뱃속, 배 속 바람의종 2012.05.10 7505
561 외래어의 된소리 표기 바람의종 2012.05.11 11476
560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12.05.15 8704
559 생살, 살생 바람의종 2012.05.15 8325
558 헤어진 옷 바람의종 2012.05.16 11218
557 거치장스럽다 바람의종 2012.05.16 8106
556 무더위, 불볕더위 바람의종 2012.05.18 7487
555 러닝머신 바람의종 2012.05.22 77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