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4.30 15:43

다 되다, 다되다

조회 수 907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다 되다, 다되다

우리말 바루기의 독자라면 띄어쓰기 하나로도 단어의 의미가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다되다'와 '다 되다'는 띄어쓰기로 인해 의미가 180도 변하는 참 재미있는 낱말이다. '다'와 '되다'를 띄어 써서 '다 되다'고 하면 '모든 일을 마쳤다, 완성했다'는 의미가 되고, '다'와 '되다'를 붙여 써서 '다되다'고 하면 "이제 최 부잣집도 다된 집안이다" "이런 큰 뜻을 몰라 준다면 이젠 세상도 다된 거요"에서와 같이 '완전히 그르친 상태에 있다'는 뜻이 되니 말이다.

'다'는 일반적으로 "올 사람은 다 왔어" "줄 건 다 줬어"에서와 같이 '남거나 빠진 것 없이 모두'라는 의미로 쓰인다. 그러나 '다'는 "벼락치기로 시험 공부를 하자면 잠은 다 잤다" "비가 오니 소풍은 다 갔다"에서처럼 실현할 수 없게 된 앞일을 이미 이루어진 것처럼 반어적으로 나타내는 말로도 쓰인다.

'다'와 '되다'를 결합해 만든 단어 '다되다'가 '다 되다(모두 되다, 즉 모두 완성되다/이루어지다)'와 의미가 많이 다른 것은 '다되다'는 합성어가 만들어질 때 '모두'라는 의미의 '다'가 아닌 반어적 용법의 '다'가 와서 '되다'와 결합했기 때문이다. 띄어쓰기라는 작은 차이 하나가 의미의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정도로 우리말의 세계는 복잡 미묘하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욱 매력적이지 않은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1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7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88
1566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138
1565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141
1564 눈부처 바람의종 2010.08.19 9144
1563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9147
1562 떨려나다 바람의종 2008.01.11 9148
1561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9152
1560 접수하다 바람의종 2010.08.06 9153
1559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55
1558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56
1557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159
1556 돋힌 바람의종 2008.12.18 9160
1555 체언의 쓰임새 바람의종 2010.01.09 9162
1554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67
1553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170
1552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175
1551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181
1550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9181
1549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81
1548 싸다와 누다 바람의종 2009.10.01 9181
1547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82
1546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9187
1545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1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