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5416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단박하다, 담박하다 / 담백하다, 담박하다

젊은 시절 객지 생활을 하면서 인공 조미료를 쓴 음식에 길이 들었다. 그러다 결혼을 해 집에서 밥을 먹게 됐는데 아내는 인공 조미료가 건강에 좋지 않다는 생각을 하고 있어서 전혀 쓰지를 않았다. 맛이 없다는 말도 못 하고 그냥 먹다 보니 이젠 조미료를 친 음식이 도리어 느끼해서 꺼려진다. 맛이 '느끼하지 않고 산뜻하다'는 것을 표현할 때 다음 네 가지 중 하나로 적는 경우가 많다.

ㄱ. 바지락 수제비는 시원하고 단백한 국물이 좋다.
ㄴ. 쇠고기보다 담박한 맛을 내는 꿩고기를 사용해 육수를 만든다.
ㄷ. 피부 관리를 위해서는 기름진 것보다 단박한 음식이 좋다.
ㄹ. 육류를 쓰지 않고 두부와 채소만 사용해 담백한 맛이 일품이다.

이 중 ㄴ의 '담박한'과 ㄹ의 '담백한'이 제대로 쓴 것이다. 이들은 한자어인데 '淡泊' '淡白'으로 적는다. 담(淡)은 '엷다' '싱겁다' '조촐하다'라는 의미를 지녔고, 박(泊) 역시 '조촐하다' '산뜻하다'라는 의미를 가졌으니 한자만 알면 뜻을 짐작하는 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단백질이란 말이 흔해서인지 '단백하다'라고 적는 이들이 있지만 이는 틀린 것이고 '단박하다'는 '담박하다'를 잘못 적은 것으로 보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5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9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43
2842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9214
2841 삼촌 바람의종 2008.01.27 8044
2840 입에 발린 소리 바람의종 2008.01.28 17563
2839 입추의 여지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8 13844
2838 자웅을 겨루다 바람의종 2008.01.28 20765
2837 깍지다리 바람의종 2008.01.28 7077
2836 말꽃과 삶꽃 바람의종 2008.01.28 6915
2835 마니산과 머리 바람의종 2008.01.28 8652
2834 장사진을 치다 바람의종 2008.01.29 10197
2833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874
2832 쥐뿔도 모른다 바람의종 2008.01.29 12915
2831 색깔이름 바람의종 2008.01.29 21790
2830 비갈망 바람의종 2008.01.29 8447
2829 날래다와 빠르다 바람의종 2008.01.29 7317
2828 직성이 풀리다 바람의종 2008.01.30 14932
2827 진이 빠지다 바람의종 2008.01.30 14440
2826 짬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30 14042
2825 개불알꽃 바람의종 2008.01.30 9173
2824 한뫼-노고산 바람의종 2008.01.30 10281
2823 중앙아시아 언어들 바람의종 2008.01.30 9233
2822 초주검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31 10578
2821 태풍의 눈 바람의종 2008.01.31 1051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