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2.01 18:24

접두사 '햇-, 숫-, 맨-'

조회 수 12854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접두사 '햇-, 숫-, 맨-'

'햇과일, 숫염소, 맨손, 되돌아가다, 휘젓다, 들볶다, 시퍼렇다'에서 '햇(해)-, 맨-, 숫-, 되-, 휘-, 들(들이)-, 시(싯/새/샛)-'처럼 어떤 단어의 앞에 붙어 새로운 단어가 되게 하는 말이 있다. 이들을 접두사라고 한다. 접두사는 홀로 쓰이지 못하므로 항상 어떤 단어 앞에 붙여 쓴다.

접두사 중에서 '햇-, 숫-, 맨-' 등은 많은 사람이 관형사로 혼동해 띄어 쓰는 경우를 종종 본다. 그러나 '햇-, 숫-'은 예외 없이 모두 접두사이므로 붙여 써야 한다. '맨'의 경우는 조금 복잡하다.

'햇(해)-'은 '그해에 난'이란 뜻의 접두사다(햇감자, 햇병아리/ 해쑥, 해콩). '숫(수)-'은 '더럽혀지지 않아 깨끗한'(숫처녀, 숫눈, 숫총각), '암수의 구별'(숫양, 숫염소, 숫쥐/수꿩, 수소, 수나사, 수단추/수캉아지, 수캐, 수컷, 수탉, 수탕나귀, 수퇘지, 수평아리, 수톨쩌귀), '수량을 나타낼 때'(수백만, 수천) 쓰는 접두사다. 참고로 '수캉아지, 수캐, 수컷, 수탉, 수탕나귀, 수톨쩌귀, 수퇘지, 수평아리'는 '수' 다음의 첫소리를 거센소리로 적는다.

 '맨-'은 '맨손, 맨땅, 맨발, 맨주먹'같이 '다른 것이 없는'의 뜻일 때는 접두사다. 그러나 '맨 꼭대기, 맨 먼저, 맨 구석'처럼 '더 할 수 없을 정도나 경지에 있음'을 나타낼 때는 관형사이고, '맨 소나무뿐이다, 맨 놀기만 한다'처럼 '다른 것은 섞이지 아니하고 온통'이란 뜻일 때는 부사이므로 띄어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98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6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425
2864 바바리 바람의종 2009.03.23 7594
2863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48
2862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416
2861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87
2860 모디리 바람의종 2009.03.27 6701
2859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359
2858 공작 바람의종 2009.03.30 5717
2857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79
2856 집이 갔슴둥? 바람의종 2009.03.31 6931
2855 빌레 바람의종 2009.03.31 6720
2854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546
2853 올빼미 바람의종 2009.04.03 7658
2852 스스로를? 바람의종 2009.04.09 5934
2851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722
2850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57
2849 삐라·찌라시 바람의종 2009.04.13 6336
2848 비둘기 바람의종 2009.04.14 6176
2847 험담 바람의종 2009.04.30 6830
2846 디려놓곡 내여놓곡 바람의종 2009.04.30 5703
2845 똥금이 바람의종 2009.05.01 6630
2844 파스 바람의종 2009.05.01 13065
2843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