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4216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앎, 알음, 만듬/만듦, 베품/베풂

프랜시스 베이컨이 외쳤던가. "아는 것이 힘이다"라고. 동양인은 일갈한다. "아는 것이 병이다"라고. 여기서도 동서양 사유(思惟)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다.

'아는/안다는 것'은 지식을 말한다. 지식을 순 우리말로 하면 '앎'이다. '앎'은 동사 '알다'의 명사다. 원래는 명사형이었을 것이나 완전히 명사로 바뀐 것이다. 이런 낱말을 전성명사(轉成名詞)라고 한다. '살다'의 '삶'도 마찬가지다.

'알다' '살다'처럼 ㄹ불규칙활용을 따르는 낱말들, 예컨대 '거칠다, 둥글다, 만들다, 베풀다' 등의 명사형을 만들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앎'과 '삶'처럼 어간의 ㄹ을 살려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지 않고 바로 ㅁ을 붙인 '거침, 둥금, 만듬, 베품' 등은 틀린 표기다. '거, 둥, 만듦, 베풂' 등으로 적어야 바르다.

'알다'에서 온 명사가 '앎' 말고 또 하나 있다. '알음'이다. 이것도 '갈음, 기쁨, 얼음, 울음, 웃음' 등과 같이 완전히 명사가 된 것이다. '알음'은 '사람끼리 서로 아는 일/지식이나 지혜가 있음/어떤 사정이나 수고에 대하여 알아주는 것' 등을 뜻한다.

'앎'과 '알음'은 모두 '알다'에서 나온 명사지만, 그 의미는 서로 다르다. '앎'은 지식(知識)을, '알음'은 면식(面識).안면(顔面)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 차이는 '아는 체하다'와 '알은체하다'에서도 나타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7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3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310
2864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47
2863 단어를 쪼개지 말자 바람의종 2012.05.02 11150
2862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688
2861 다 되다, 다되다 바람의종 2012.04.30 9032
2860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664
2859 유월, 육월, 오뉴월 바람의종 2012.04.23 13818
2858 안정화시키다 바람의종 2012.04.23 13917
2857 단박하다, 담박하다 / 담백하다, 담박하다 바람의종 2012.04.23 15466
2856 뒤처지다 / 뒤쳐지다 바람의종 2012.03.27 13254
2855 비속어 바람의종 2012.03.05 11486
2854 배부, 배포 바람의종 2012.03.05 19324
2853 시다바리, 나와바리, 당일바리 바람의종 2012.03.05 17760
2852 접두사 '햇-, 숫-, 맨-' 바람의종 2012.02.01 12836
2851 사전(辭典), 사전(事典) 바람의종 2012.02.01 7806
2850 고국, 모국, 조국 바람의종 2012.02.01 10674
2849 체화 바람의종 2012.01.24 11421
2848 경구 투여 바람의종 2012.01.24 9749
2847 ~라고 / ~고 바람의종 2012.01.24 13782
2846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404
2845 뭉기적거리다, 밍기적거리다 바람의종 2012.01.23 14832
2844 시건 바람의종 2012.01.19 16630
2843 찰라, 찰나, 억겁 바람의종 2012.01.19 205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