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4209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앎, 알음, 만듬/만듦, 베품/베풂

프랜시스 베이컨이 외쳤던가. "아는 것이 힘이다"라고. 동양인은 일갈한다. "아는 것이 병이다"라고. 여기서도 동서양 사유(思惟)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다.

'아는/안다는 것'은 지식을 말한다. 지식을 순 우리말로 하면 '앎'이다. '앎'은 동사 '알다'의 명사다. 원래는 명사형이었을 것이나 완전히 명사로 바뀐 것이다. 이런 낱말을 전성명사(轉成名詞)라고 한다. '살다'의 '삶'도 마찬가지다.

'알다' '살다'처럼 ㄹ불규칙활용을 따르는 낱말들, 예컨대 '거칠다, 둥글다, 만들다, 베풀다' 등의 명사형을 만들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앎'과 '삶'처럼 어간의 ㄹ을 살려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지 않고 바로 ㅁ을 붙인 '거침, 둥금, 만듬, 베품' 등은 틀린 표기다. '거, 둥, 만듦, 베풂' 등으로 적어야 바르다.

'알다'에서 온 명사가 '앎' 말고 또 하나 있다. '알음'이다. 이것도 '갈음, 기쁨, 얼음, 울음, 웃음' 등과 같이 완전히 명사가 된 것이다. '알음'은 '사람끼리 서로 아는 일/지식이나 지혜가 있음/어떤 사정이나 수고에 대하여 알아주는 것' 등을 뜻한다.

'앎'과 '알음'은 모두 '알다'에서 나온 명사지만, 그 의미는 서로 다르다. '앎'은 지식(知識)을, '알음'은 면식(面識).안면(顔面)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 차이는 '아는 체하다'와 '알은체하다'에서도 나타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4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9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930
48 꺼예요, 꺼에요, 거예요, 거에요 바람의종 2010.07.12 22601
47 ‘넓다´와 ‘밟다´의 발음 바람의종 2010.08.15 22704
46 쌓인, 싸인 바람의종 2008.12.27 23175
45 늘그막, 늙으막 / 늑수그레하다, 늙수그레하다 바람의종 2010.04.02 23664
44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3820
43 박물관은 살아있다 2 바람의종 2012.12.10 23864
42 피랍되다 바람의종 2012.12.21 24138
41 레스쿨제라블, 나발질 風文 2014.12.29 24183
» 앎, 알음, 만듬/만듦, 베품/베풂 바람의종 2012.01.08 24209
39 나, 본인, 저 윤안젤로 2013.04.03 24209
38 온몸이 노근하고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12.12.12 24244
37 맞벌이, 외벌이, 홑벌이 바람의종 2012.11.23 24327
36 암닭, 암탉 / 닭 벼슬 바람의종 2010.06.16 24355
35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396
34 오살할 놈 바람의종 2008.02.29 24564
33 차단스 바람의종 2008.02.19 24935
32 휘거 風文 2014.12.05 25035
31 모자르다, 모자라다, 모잘라, 모자른, 모잘른 바람의종 2010.06.01 25287
30 '받다'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18 25538
29 새 학기 단상 윤안젤로 2013.04.19 25926
28 자잘못을 가리다 바람의종 2012.12.11 25942
27 자처하다, 자청하다 바람의종 2012.12.04 261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