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427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앎, 알음, 만듬/만듦, 베품/베풂

프랜시스 베이컨이 외쳤던가. "아는 것이 힘이다"라고. 동양인은 일갈한다. "아는 것이 병이다"라고. 여기서도 동서양 사유(思惟)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다.

'아는/안다는 것'은 지식을 말한다. 지식을 순 우리말로 하면 '앎'이다. '앎'은 동사 '알다'의 명사다. 원래는 명사형이었을 것이나 완전히 명사로 바뀐 것이다. 이런 낱말을 전성명사(轉成名詞)라고 한다. '살다'의 '삶'도 마찬가지다.

'알다' '살다'처럼 ㄹ불규칙활용을 따르는 낱말들, 예컨대 '거칠다, 둥글다, 만들다, 베풀다' 등의 명사형을 만들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앎'과 '삶'처럼 어간의 ㄹ을 살려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지 않고 바로 ㅁ을 붙인 '거침, 둥금, 만듬, 베품' 등은 틀린 표기다. '거, 둥, 만듦, 베풂' 등으로 적어야 바르다.

'알다'에서 온 명사가 '앎' 말고 또 하나 있다. '알음'이다. 이것도 '갈음, 기쁨, 얼음, 울음, 웃음' 등과 같이 완전히 명사가 된 것이다. '알음'은 '사람끼리 서로 아는 일/지식이나 지혜가 있음/어떤 사정이나 수고에 대하여 알아주는 것' 등을 뜻한다.

'앎'과 '알음'은 모두 '알다'에서 나온 명사지만, 그 의미는 서로 다르다. '앎'은 지식(知識)을, '알음'은 면식(面識).안면(顔面)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 차이는 '아는 체하다'와 '알은체하다'에서도 나타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90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4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300
1236 안절부절 하다 바람의종 2008.09.26 7044
1235 안절부절못하다 바람의종 2010.03.24 13328
1234 안정화시키다 바람의종 2012.04.23 13959
1233 안치다, 밭치다, 지게, 찌개 바람의종 2008.06.16 8409
1232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716
1231 안티커닝 바람의종 2009.06.17 8512
1230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69
1229 안하다, 못하다 바람의종 2009.02.10 17776
1228 앉은부채 바람의종 2008.06.11 5557
1227 않는, 않은 바람의종 2008.09.29 15559
1226 않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14 8113
1225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185
1224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770
1223 알맹이, 알갱이 바람의종 2010.04.27 9529
1222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613
1221 알비 바람의종 2009.11.23 9489
1220 알아야 면장한다. 바람의종 2009.06.15 6824
1219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376
1218 알은척 / 아는 척 바람의종 2009.02.07 10863
1217 알은체는 아는 사이에서 바람의종 2009.11.12 9478
1216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81
1215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1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