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41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버스 대절해서 행선지로

봄만큼 여행에 대한 충동으로 들뜨는 계절도 없다. '방랑과 변화를 사랑하는 건 살아 있다는 증거'라고 한 바그너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속살거리는 햇살이 그만큼 유혹적이다. 목적과 행선지는 달라도 봄이 꽃을 피우듯 사람들은 여행을 통해 활력을 되찾는다. 여행이 주는 선물인 셈이다. 떠나기 위해서는 일단 목적지를 정해야 한다. 이를 흔히 '행선지(行先地)'라는 말로 표현해 "철쭉이 한창인 지리산 바래봉으로 갈지, 녹차의 향이 짙어 가는 보성으로 갈지 행선지를 정하느라 고민이다"와 같이 사용한다. 하지만 '행선지'는 '목적지를 향해 가다'는 뜻의 '행선(行先.ゆきさき)'에 '지(地)'가 붙은 일본식 한자어로 '가는 곳' '갈 곳'으로 바꿔 쓰는 게 좋다. 갈 데가 결정되면 교통수단이 필요한데 이때도 유의해야 할 말이 있다. "육로로 울릉도를 돌아보려면 택시를 대절하는 게 가장 편하다" "올봄이 끝나기 전에 관광버스를 대절해 마을 사람 모두 꽃구경 가기로 했다"처럼 '대절(貸切.かしきり)'이란 단어를 많이 사용하지만 이 역시 일본말의 잔재다. '계약에 의해 일정 기간 동안 그 사람에게만 빌려 줘 다른 사람의 사용을 금하는 일'이라는 '대절'과 같은 의미를 지닌 말로는 '전세(專貰)'가 있다. "관광버스를 대절하다"는 "관광버스를 전세 내다", "대절 버스로 가다"는 "전세 버스로 가다", "전세 버스를 대절하다"는 "전세 버스를 이용하다" 등으로 바꿔 쓰는 게 바람직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6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1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192
1896 백안시 바람의종 2007.07.10 7572
1895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590
1894 백전백승 바람의종 2007.07.11 6169
1893 백정 바람의종 2007.07.11 6422
1892 백지 와 그라노! 바람의종 2010.02.08 7177
1891 밸과 마음 바람의종 2008.04.09 8293
1890 뱃속, 배 속 바람의종 2012.05.10 7428
1889 뱉어라, 뱉아라, 뺏어라, 뺏아라, 맺어라, 맺아라 바람의종 2009.11.12 11532
1888 버들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4.10 7918
1887 버무르다, 버무리다 바람의종 2011.12.12 9785
1886 버버리 코트 바람의종 2008.02.12 6800
1885 버벅거리다 바람의종 2011.12.14 10797
1884 버스 값, 버스비, 버스 요금 바람의종 2010.03.24 14144
» 버스 대절해서 행선지로 바람의종 2012.01.07 11411
1882 번갈아 바람의종 2007.05.10 8051
1881 번번이 / 번번히 바람의종 2012.05.07 14589
1880 번역 투 문장 바람의종 2010.01.10 7217
1879 번지르한, 푸르른 바람의종 2009.03.24 7656
1878 벌개미취 바람의종 2008.05.05 6867
1877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384
1876 벌레 바람의종 2008.01.03 7385
1875 벌써, 벌써부터 바람의종 2009.05.02 61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