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30 16:54

바람피다 걸리면?

조회 수 12011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바람피다 걸리면?

얼마 전 한 영화 사이트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팜므 파탈'(악녀.요부를 뜻하는 말)의 대명사로 불리는 국내 여자 연예인으로 '바람피기 좋은 날'에서 열연한 김혜수가 뽑혔다. 이 영화의 제목 '바람피기 좋은 날'은 '바람피우기 좋은 날'이 맞는 말이다. "결혼생활 중 바람피다 발각됐을 경우 남성은 평소보다 더 당당한 태도를 보이는 반면 여성은 강하게 부인하는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처럼 '바람피다'는 말이 흔히 쓰이고 있으나 '바람피우다'고 해야 한다.

 '피다'는 "철쭉이 피었다" "아이는 얼굴이 피고 살이 올랐다" "소나기가 오려는지 먹구름이 피었다" "사업이 잘 돼 형편이 좀 피었다" "웃음꽃이 피었다" 등처럼 '꽃봉오리가 벌어지다' '혈색이 좋아지다' '구름이나 연기가 커지다' '수입이 늘다' '웃음이나 미소가 겉으로 나타나다' 등 여러 가지 뜻으로 쓰인다. '피우다'는 '피다'의 사동사로도 기능을 하지만 일부 명사와 함께 쓰여 그 명사가 뜻하는 행동이나 태도를 나타낸다. '재롱을 피우다' '어리광을 피우다' '게으름을 피우다' '담배를 피우다' 등과 같이 사용된다.

 '바람' 역시 그 명사가 뜻하는 행동이나 태도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피다'가 아니라 '피우다'와 결합해 '바람피우다'가 된다. 따라서 '바람피기 좋은 날'은 '바람피우기 좋은 날'이라고 해야 한다. 바람을 피우는 것과 관련해서는 이른 나이에 하는 외도를 뜻하는 '일바람'이 있다. 한편 북한에서는 '바람피우다'가 '허황된 짓을 자꾸 하다'는 뜻으로 쓰인다고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03
2886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風文 2022.08.22 1212
2885 국민 바람의종 2008.11.23 4547
2884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415
2883 국민들 바람의종 2010.09.08 11709
2882 국방색 / 중동 風文 2020.06.24 2239
2881 국수 바람의종 2007.06.05 7431
2880 국어 영역 / 애정 행각 風文 2020.06.15 1626
2879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285
2878 국어의 품사 1 바람의종 2009.12.14 14958
2877 국으로 바람의종 2010.11.25 10957
2876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372
2875 군불을 떼다 바람의종 2007.12.28 12869
2874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216
2873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839
2872 굳은 살이 - 박혔다, 박였다, 배겼다 바람의종 2009.07.28 8872
2871 굴뚝새 바람의종 2009.07.08 6084
2870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665
2869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10.05.18 11525
2868 굴지 바람의종 2007.06.05 6945
2867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40
2866 굼때다 바람의종 2008.07.05 6939
2865 굽신거리다 바람의종 2008.10.22 67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