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30 16:47

한계와 한도

조회 수 840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한계와 한도

9초75. 10년 전 스포츠과학자들은 육상 100m에서 낼 수 있는 최고 속도를 이렇게 예측했다. 현재 공식 세계기록은 9초77. 10년 전 예측에 거의 도달했다. 스포츠과학의 발달로 최근엔 10년 전 추정치보다 기록을 더욱 단축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과연 100m의 인간 한계는 얼마일까?

 '한계(限界)'는 사물.능력.책임 따위가 실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또는 그런 범위를 나타내는 선을 말한다. "한 네덜란드 교수가 '육상 100m의 한계는 9초50'이란 기존 학자들의 예상치보다 더 낮춘 9초29라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에서 '한계'는 사람이 100m를 9초29보단 빨리 뛸 수 없다고 여긴다는 뜻으로 쓰였다. 이처럼 '한계'는 어떤 범위 이상은 없다고 볼 때 사용한다.

 '한계'와 유사한 말로 '한도(限度)'가 있다. 일정한 정도 또는 한정된 정도를 일컫는 말로 "다리운동을 할 때는 허리나 무릎에 부담이 가지 않는 한도 내에서 하는 게 좋다" "내가 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도전하고 싶다"와 같이 쓴다. 주로 어떤 범위 이상은 넘어설 수 없다고 보는 경우에 사용한다.

 두 낱말이 범위를 규정한다는 점에서 쓰임이 비슷한 것 같지만 정해진 범위 이상은 없다고 볼 땐 '한계', 정해진 범위 이상은 넘을 수 없다고 여길 땐 '한도'를 써서 표현한다. "인간이 지닌 시각 능력의 한도는 24분의 1초다"처럼 '한계'가 올 자리에 '한도'를 사용하거나 "1만원 한계 내에서 물건을 사라"와 같이 '한도' 대신 '한계'를 쓰면 어색한 문장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325
2842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847
2841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682
2840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28
2839 바람의종 2009.05.06 7834
2838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608
2837 말 목숨 바람의종 2009.05.06 4592
2836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884
2835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243
2834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05
2833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790
2832 좌우 바람의종 2009.05.12 8031
2831 묵음시롱 바람의종 2009.05.12 6325
2830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7013
2829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47
2828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452
2827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28
2826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793
2825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06
2824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68
2823 딱따구리 바람의종 2009.05.21 10876
2822 이바지 바람의종 2009.05.24 5903
2821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8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