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28 18:20

받치다, 받히다

조회 수 10360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받치다, 받히다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봄나들이가 한창이다. 이렇게 외출이 잦은 요즘 호기심 많고 어디로 튈지 모르는 럭비공 같은 아이들에게 차 조심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면 이럴 때 어떻게 얘기해 줘야 할까. "차 조심해라. 차에 받치면/받히면 큰일 난다."

 '받치다'는 두 가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사전을 찾아보면 "아침에 먹은 것이 자꾸 받쳐서 아무래도 점심은 걸러야겠다"에서와 같이 '먹은 것이 잘 소화되지 않고 위로 치밀다', "맨바닥에서 잠을 자려니 등이 받쳐서 잠이 오지 않는다"에서처럼 '앉거나 누운 자리 바닥이 딴딴하게 배기다', "그는 설움에 받쳐 울음을 터뜨렸다"와 같이 '화 따위의 심리적 작용이 강하게 일어나다'는 의미의 '받치다1'이 있다.

 '받치다2'는 "학생들이 공책에 책받침을 받치고 쓴다"에서와 같이 '어떤 물건의 밑이나 안에 다른 물체를 대다', "배경 음악이 그 장면을 잘 받쳐 주어서 전체적인 분위기가 훨씬 감동적이었다"에서처럼 '주변에서 돕다', "아가씨들이 양산을 받쳐 들고 거리를 거닐고 있다"처럼 '비나 햇빛과 같은 것이 통하지 못하도록 우산이나 양산을 펴 들다'는 의미로 쓰인다.

 '받히다'는 '받다'의 피동사로 '머리나 뿔 따위에 세차게 부딪히다'는 의미이며, "마을 이장이 소에게 받혀서 꼼짝을 못 한다"와 같이 사용된다. 따라서 "차 조심해라. 차에 받히면 큰일 난다"와 같이 말하는 게 정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19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7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516
1500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284
1499 루즈 바람의종 2008.02.11 9287
1498 바람의종 2012.07.27 9289
1497 '지'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05 9290
1496 푸르름 바람의종 2011.11.10 9290
1495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98
1494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301
1493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302
1492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307
1491 까짓것, 고까짓것, 고까짓 바람의종 2010.05.13 9310
1490 고문과, 짬밥 바람의종 2009.09.01 9316
1489 옷매무새, 옷매무시 바람의종 2008.09.25 9317
1488 딱총새 바람의종 2009.10.02 9321
1487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322
1486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325
1485 한참동안 바람의종 2007.04.23 9325
1484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327
1483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330
1482 바람 바람의종 2012.08.20 9330
1481 바람의종 2007.09.22 9331
1480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336
1479 에다와 에이다 바람의종 2010.11.05 93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