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28 18:20

받치다, 받히다

조회 수 10349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받치다, 받히다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봄나들이가 한창이다. 이렇게 외출이 잦은 요즘 호기심 많고 어디로 튈지 모르는 럭비공 같은 아이들에게 차 조심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면 이럴 때 어떻게 얘기해 줘야 할까. "차 조심해라. 차에 받치면/받히면 큰일 난다."

 '받치다'는 두 가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사전을 찾아보면 "아침에 먹은 것이 자꾸 받쳐서 아무래도 점심은 걸러야겠다"에서와 같이 '먹은 것이 잘 소화되지 않고 위로 치밀다', "맨바닥에서 잠을 자려니 등이 받쳐서 잠이 오지 않는다"에서처럼 '앉거나 누운 자리 바닥이 딴딴하게 배기다', "그는 설움에 받쳐 울음을 터뜨렸다"와 같이 '화 따위의 심리적 작용이 강하게 일어나다'는 의미의 '받치다1'이 있다.

 '받치다2'는 "학생들이 공책에 책받침을 받치고 쓴다"에서와 같이 '어떤 물건의 밑이나 안에 다른 물체를 대다', "배경 음악이 그 장면을 잘 받쳐 주어서 전체적인 분위기가 훨씬 감동적이었다"에서처럼 '주변에서 돕다', "아가씨들이 양산을 받쳐 들고 거리를 거닐고 있다"처럼 '비나 햇빛과 같은 것이 통하지 못하도록 우산이나 양산을 펴 들다'는 의미로 쓰인다.

 '받히다'는 '받다'의 피동사로 '머리나 뿔 따위에 세차게 부딪히다'는 의미이며, "마을 이장이 소에게 받혀서 꼼짝을 못 한다"와 같이 사용된다. 따라서 "차 조심해라. 차에 받히면 큰일 난다"와 같이 말하는 게 정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73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4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056
2380 금낭화 바람의종 2008.07.18 6281
2379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201
2378 잔돌배기 바람의종 2008.07.19 6873
2377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472
237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720
2375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76
2374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421
2373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68
2372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346
2371 햇빛, 햇볕 바람의종 2008.07.24 8707
2370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99
2369 딜위·그믐딘이 바람의종 2008.07.26 7097
2368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204
2367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436
2366 바람의종 2008.07.28 6367
2365 곤혹스런 바람의종 2008.07.28 5270
2364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536
2363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243
2362 무데뽀, 나시, 기라성 바람의종 2008.07.29 6901
2361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7055
2360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938
2359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102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