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28 18:20

받치다, 받히다

조회 수 1034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받치다, 받히다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봄나들이가 한창이다. 이렇게 외출이 잦은 요즘 호기심 많고 어디로 튈지 모르는 럭비공 같은 아이들에게 차 조심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면 이럴 때 어떻게 얘기해 줘야 할까. "차 조심해라. 차에 받치면/받히면 큰일 난다."

 '받치다'는 두 가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사전을 찾아보면 "아침에 먹은 것이 자꾸 받쳐서 아무래도 점심은 걸러야겠다"에서와 같이 '먹은 것이 잘 소화되지 않고 위로 치밀다', "맨바닥에서 잠을 자려니 등이 받쳐서 잠이 오지 않는다"에서처럼 '앉거나 누운 자리 바닥이 딴딴하게 배기다', "그는 설움에 받쳐 울음을 터뜨렸다"와 같이 '화 따위의 심리적 작용이 강하게 일어나다'는 의미의 '받치다1'이 있다.

 '받치다2'는 "학생들이 공책에 책받침을 받치고 쓴다"에서와 같이 '어떤 물건의 밑이나 안에 다른 물체를 대다', "배경 음악이 그 장면을 잘 받쳐 주어서 전체적인 분위기가 훨씬 감동적이었다"에서처럼 '주변에서 돕다', "아가씨들이 양산을 받쳐 들고 거리를 거닐고 있다"처럼 '비나 햇빛과 같은 것이 통하지 못하도록 우산이나 양산을 펴 들다'는 의미로 쓰인다.

 '받히다'는 '받다'의 피동사로 '머리나 뿔 따위에 세차게 부딪히다'는 의미이며, "마을 이장이 소에게 받혀서 꼼짝을 못 한다"와 같이 사용된다. 따라서 "차 조심해라. 차에 받히면 큰일 난다"와 같이 말하는 게 정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2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78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673
1082 ~ ㄴ걸 / ~ ㄹ 걸 바람의종 2008.12.11 10337
1081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339
1080 양방향 / 쌍방향 바람의종 2010.03.23 10341
1079 계기, 전기, 기회 바람의종 2010.11.16 10343
» 받치다, 받히다 바람의종 2011.12.28 10343
1077 언어도단 바람의종 2007.12.16 10352
1076 뽐뿌와 지르다 바람의종 2008.12.06 10354
1075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357
1074 ‘곧은밸’과 ‘면비교육’ 바람의종 2010.04.26 10360
1073 혼저 옵소예 file 바람의종 2009.11.09 10364
1072 햇빛은 눈부시고,햇볕은 뜨겁다 바람의종 2010.03.10 10372
1071 퇴짜 바람의종 2007.08.31 10376
1070 띄어스기 - "지" 바람의종 2008.10.23 10379
1069 윽박 바람의종 2008.01.18 10381
1068 부아가 난다 바람의종 2008.01.13 10381
1067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383
1066 예산 타령 바람의종 2010.10.16 10389
1065 장가들다 바람의종 2007.03.22 10390
1064 호구 바람의종 2010.08.17 10397
1063 입뇌리·물퉁게 바람의종 2008.03.18 10403
1062 송곳니 바람의종 2010.08.11 10405
1061 엄청 바람의종 2010.03.26 104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