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28 18:20

받치다, 받히다

조회 수 1033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받치다, 받히다

가정의 달 5월을 맞아 봄나들이가 한창이다. 이렇게 외출이 잦은 요즘 호기심 많고 어디로 튈지 모르는 럭비공 같은 아이들에게 차 조심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면 이럴 때 어떻게 얘기해 줘야 할까. "차 조심해라. 차에 받치면/받히면 큰일 난다."

 '받치다'는 두 가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사전을 찾아보면 "아침에 먹은 것이 자꾸 받쳐서 아무래도 점심은 걸러야겠다"에서와 같이 '먹은 것이 잘 소화되지 않고 위로 치밀다', "맨바닥에서 잠을 자려니 등이 받쳐서 잠이 오지 않는다"에서처럼 '앉거나 누운 자리 바닥이 딴딴하게 배기다', "그는 설움에 받쳐 울음을 터뜨렸다"와 같이 '화 따위의 심리적 작용이 강하게 일어나다'는 의미의 '받치다1'이 있다.

 '받치다2'는 "학생들이 공책에 책받침을 받치고 쓴다"에서와 같이 '어떤 물건의 밑이나 안에 다른 물체를 대다', "배경 음악이 그 장면을 잘 받쳐 주어서 전체적인 분위기가 훨씬 감동적이었다"에서처럼 '주변에서 돕다', "아가씨들이 양산을 받쳐 들고 거리를 거닐고 있다"처럼 '비나 햇빛과 같은 것이 통하지 못하도록 우산이나 양산을 펴 들다'는 의미로 쓰인다.

 '받히다'는 '받다'의 피동사로 '머리나 뿔 따위에 세차게 부딪히다'는 의미이며, "마을 이장이 소에게 받혀서 꼼짝을 못 한다"와 같이 사용된다. 따라서 "차 조심해라. 차에 받히면 큰일 난다"와 같이 말하는 게 정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94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5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24
2842 젬병 바람의종 2007.03.24 10675
2841 젠 스타일 바람의종 2008.11.20 7486
2840 제트(Z) 바람의종 2009.09.07 7231
2839 제작, 제조, 조제 바람의종 2010.07.05 14349
2838 제우 요것뿐이오! 바람의종 2010.01.20 11961
2837 제왕절개 바람의종 2007.12.20 11470
2836 제수용품 / 꼬지, 꽂이, 꼬치 바람의종 2010.02.12 11382
2835 제비초리 바람의종 2007.03.23 14146
2834 제비 바람의종 2009.05.29 7419
2833 제맛 바람의종 2008.01.05 7861
2832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760
2831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72
2830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837
2829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542
2828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386
2827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50
2826 정정당당 바람의종 2007.12.20 8711
2825 정육점과 푸줏간 바람의종 2010.05.10 11097
2824 정오(正誤) 바람의종 2010.03.13 11167
2823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804
2822 정상 정복, 등정 바람의종 2009.02.21 6415
2821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3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