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27 12:08

첫번째, 첫 번째

조회 수 9648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첫번째, 첫 번째

'처음'이라는 것은 그 이후의 어떤 것과는 달리 특별한 의미를 부여받기도 한다. 그래서 '첫'이 '맨 처음의'를 뜻하는 관형사('첫 경험/첫 시험/첫 월급')임에도 '첫사랑, 첫눈, 첫인상, 첫걸음마, 첫손가락' 등은 합성어로 인정돼 뒷말과 붙여 쓴다. 그러면 '첫번째/ 첫 번째'는 어떻게 써야 할까?

'첫 번째'는 관형사 '첫'과 차례나 횟수를 나타내는 의존명사 '번째'로 이뤄진 말로, 맨 처음의 차례나 횟수를 뜻한다. 그러므로 '첫 번째'처럼 띄어 써야 한다. 일부 사전에서는 '첫 번째'의 경우 '첫'이 '두 번째, 세 번째…'의 '두, 세…'와는 달리 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맨 처음'의 뜻을 나타낸다고 봐서 합성어로 인정해 붙여 쓰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리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첫'이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것과 달리 '두, 세…'는 수를 나타내지만 모두 관형사이므로 특별히 '첫'만 뒷말과 붙여 쓸 이유가 없다. 더구나 '첫 번째'는 '두 번째, 세 번째…'와 연속성이 있는 말이므로 '첫 번째'처럼 띄어 쓰는 것이 합리적이다.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첫번째, 두번째…아흔아홉번째…'처럼 모두 붙여 쓰려면 이들을 모두 합성어로 보아야 하는데, 무한으로 이어지는 수와 '번째'의 결합을 모두 합성어로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첫 번째'를 포함해 관형사 뒤에 '번째'가 이어진 말은 '첫 번째, 두 번째…아흔아홉 번째…'처럼 띄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1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6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515
2842 앎, 알음, 만듬/만듦, 베품/베풂 바람의종 2012.01.08 24261
2841 대중, 민중, 군중 바람의종 2012.01.08 11367
2840 금싸래기 땅 바람의종 2012.01.08 9822
2839 붙이다, 부치다 바람의종 2012.01.07 16011
2838 구구히, 구구이 바람의종 2012.01.07 8779
2837 버스 대절해서 행선지로 바람의종 2012.01.07 11439
2836 너글너글하다, 느글느글하다 바람의종 2012.01.06 11455
2835 바람피다 걸리면? 바람의종 2011.12.30 12018
2834 가늠하다, 가름하다, 갈음하다 바람의종 2011.12.30 20380
2833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494
2832 거꾸로 가는 지자체 바람의종 2011.12.28 9448
2831 받치다, 받히다 바람의종 2011.12.28 10342
2830 진력나다, 진력내다 바람의종 2011.12.28 13412
» 첫번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11.12.27 9648
2828 꺼려하다, 꺼리다 바람의종 2011.12.27 11562
2827 담합 = 짬짜미 / 짬짬이 바람의종 2011.12.27 9636
2826 하느라고, 하노라고 바람의종 2011.12.26 11067
2825 단추를 꿰매다 바람의종 2011.12.26 8889
2824 추모, 추도 바람의종 2011.12.23 11334
2823 윤중로 바람의종 2011.12.23 10058
2822 푸른색, 파란색 바람의종 2011.12.23 10589
2821 지지배, 기지배, 기집애, 계집애, 임마, 인마 바람의종 2011.12.22 211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