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27 12:08

첫번째, 첫 번째

조회 수 9625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첫번째, 첫 번째

'처음'이라는 것은 그 이후의 어떤 것과는 달리 특별한 의미를 부여받기도 한다. 그래서 '첫'이 '맨 처음의'를 뜻하는 관형사('첫 경험/첫 시험/첫 월급')임에도 '첫사랑, 첫눈, 첫인상, 첫걸음마, 첫손가락' 등은 합성어로 인정돼 뒷말과 붙여 쓴다. 그러면 '첫번째/ 첫 번째'는 어떻게 써야 할까?

'첫 번째'는 관형사 '첫'과 차례나 횟수를 나타내는 의존명사 '번째'로 이뤄진 말로, 맨 처음의 차례나 횟수를 뜻한다. 그러므로 '첫 번째'처럼 띄어 써야 한다. 일부 사전에서는 '첫 번째'의 경우 '첫'이 '두 번째, 세 번째…'의 '두, 세…'와는 달리 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맨 처음'의 뜻을 나타낸다고 봐서 합성어로 인정해 붙여 쓰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리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첫'이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것과 달리 '두, 세…'는 수를 나타내지만 모두 관형사이므로 특별히 '첫'만 뒷말과 붙여 쓸 이유가 없다. 더구나 '첫 번째'는 '두 번째, 세 번째…'와 연속성이 있는 말이므로 '첫 번째'처럼 띄어 쓰는 것이 합리적이다.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첫번째, 두번째…아흔아홉번째…'처럼 모두 붙여 쓰려면 이들을 모두 합성어로 보아야 하는데, 무한으로 이어지는 수와 '번째'의 결합을 모두 합성어로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첫 번째'를 포함해 관형사 뒤에 '번째'가 이어진 말은 '첫 번째, 두 번째…아흔아홉 번째…'처럼 띄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1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152
2798 경구 투여 바람의종 2012.01.24 9749
2797 ~라고 / ~고 바람의종 2012.01.24 13781
2796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400
2795 뭉기적거리다, 밍기적거리다 바람의종 2012.01.23 14832
2794 용수철 바람의종 2012.01.23 11207
2793 시건 바람의종 2012.01.19 16630
2792 찰라, 찰나, 억겁 바람의종 2012.01.19 20530
2791 다른그림찾기 바람의종 2012.01.19 10324
2790 앎, 알음, 만듬/만듦, 베품/베풂 바람의종 2012.01.08 24215
2789 대중, 민중, 군중 바람의종 2012.01.08 11366
2788 금싸래기 땅 바람의종 2012.01.08 9815
2787 붙이다, 부치다 바람의종 2012.01.07 15990
2786 구구히, 구구이 바람의종 2012.01.07 8765
2785 버스 대절해서 행선지로 바람의종 2012.01.07 11435
2784 너글너글하다, 느글느글하다 바람의종 2012.01.06 11437
2783 '연륙교'의 발음은? 바람의종 2012.01.06 10761
2782 내비게이션 바람의종 2012.01.06 10498
2781 바람피다 걸리면? 바람의종 2011.12.30 11997
2780 가늠하다, 가름하다, 갈음하다 바람의종 2011.12.30 20335
2779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471
2778 거꾸로 가는 지자체 바람의종 2011.12.28 9446
2777 받치다, 받히다 바람의종 2011.12.28 103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