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23 14:56

추모, 추도

조회 수 113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추모, 추도

33개의 추모석. 버지니아공대에서 추도식이 열리던 날, 희생자 32명 옆에 범인 조승희의 자리도 마련됐다. 한국이 집단적 책임의식에 빠져 있는 동안 미국인들은 슬픔을 딛고 용서와 자성의 깃발을 내걸고 있었다. 이제 우리 사회도 소외된 외톨이를 돌아보는 진정한 책임감을 발휘해야 할 때다.

죽은 사람을 그리며 생각하는 것을 '추모(追慕)', 죽은 사람을 생각해 슬퍼하는 것을 '추도(追悼)'라고 한다. "버지니아공대에는 총격 사건의 희생자를 추모하는 행렬이 이어졌다" "이번 참사 사건으로 숨진 캐빈 그라나타 교수의 장례식에는 가족과 친지 등이 모여 고인을 추도했다"와 같이 사용한다. 두 낱말 모두 고인을 생각하는 것이지만 쓰이는 상황이 꼭 같진 않다. '추모'는 사람을 그리는 데, '추도'는 죽음을 슬퍼하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상갓집에는 그를 추도하는 조문객으로 가득 찼다"처럼 지인들이 모여 장사를 지내는 장례식장 등에선 '추도하다'란 말이 어울린다.

그러나 "4.19혁명기념관에서 민주 열사를 추모하는 행사가 개최됐다" "충북 숭렬사에서 항일운동에 앞장섰던 이상설 선생의 추모식이 열렸다"처럼 훌륭한 인물이나 업적을 되새기기 위해 세운 기념관 같은 데서 후세 사람들이 고인을 기리는 것은 '추모하다'로 표현하는 게 자연스럽다. 죽음을 슬퍼하는 데 주안점이 있다면 '추도하다'를 써도 무방하지만 이러한 미묘한 의미 차이를 염두에 두고 사용하는 게 좋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0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855
2842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12.05.15 8697
2841 외래어의 된소리 표기 바람의종 2012.05.11 11472
2840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226
2839 뱃속, 배 속 바람의종 2012.05.10 7500
2838 개연성/우연성/필연성 바람의종 2012.05.10 10593
2837 퀘퀘하다, 퀴퀴하다, 쾌쾌하다 바람의종 2012.05.09 34417
2836 걸판지게 놀다 바람의종 2012.05.09 12267
2835 번번이 / 번번히 바람의종 2012.05.07 14670
2834 외래어 받침 표기법 바람의종 2012.05.07 16339
2833 입천장이 '데이다' 바람의종 2012.05.04 14241
2832 종군위안부 바람의종 2012.05.04 10652
2831 삼겹살의 나이 바람의종 2012.05.04 11979
2830 소담하다, 소박하다 바람의종 2012.05.03 13874
2829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32
2828 허리를 곧게 피다 바람의종 2012.05.03 11774
2827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58
2826 단어를 쪼개지 말자 바람의종 2012.05.02 11237
2825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708
2824 다 되다, 다되다 바람의종 2012.04.30 9053
2823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706
2822 쇠고기 바람의종 2012.04.30 10050
2821 유월, 육월, 오뉴월 바람의종 2012.04.23 138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