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23 14:56

추모, 추도

조회 수 113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추모, 추도

33개의 추모석. 버지니아공대에서 추도식이 열리던 날, 희생자 32명 옆에 범인 조승희의 자리도 마련됐다. 한국이 집단적 책임의식에 빠져 있는 동안 미국인들은 슬픔을 딛고 용서와 자성의 깃발을 내걸고 있었다. 이제 우리 사회도 소외된 외톨이를 돌아보는 진정한 책임감을 발휘해야 할 때다.

죽은 사람을 그리며 생각하는 것을 '추모(追慕)', 죽은 사람을 생각해 슬퍼하는 것을 '추도(追悼)'라고 한다. "버지니아공대에는 총격 사건의 희생자를 추모하는 행렬이 이어졌다" "이번 참사 사건으로 숨진 캐빈 그라나타 교수의 장례식에는 가족과 친지 등이 모여 고인을 추도했다"와 같이 사용한다. 두 낱말 모두 고인을 생각하는 것이지만 쓰이는 상황이 꼭 같진 않다. '추모'는 사람을 그리는 데, '추도'는 죽음을 슬퍼하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상갓집에는 그를 추도하는 조문객으로 가득 찼다"처럼 지인들이 모여 장사를 지내는 장례식장 등에선 '추도하다'란 말이 어울린다.

그러나 "4.19혁명기념관에서 민주 열사를 추모하는 행사가 개최됐다" "충북 숭렬사에서 항일운동에 앞장섰던 이상설 선생의 추모식이 열렸다"처럼 훌륭한 인물이나 업적을 되새기기 위해 세운 기념관 같은 데서 후세 사람들이 고인을 기리는 것은 '추모하다'로 표현하는 게 자연스럽다. 죽음을 슬퍼하는 데 주안점이 있다면 '추도하다'를 써도 무방하지만 이러한 미묘한 의미 차이를 염두에 두고 사용하는 게 좋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41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95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844
2842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998
2841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700
2840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57
2839 바람의종 2009.05.06 7851
2838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731
2837 말 목숨 바람의종 2009.05.06 4651
2836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905
2835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430
2834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48
2833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838
2832 좌우 바람의종 2009.05.12 8065
2831 묵음시롱 바람의종 2009.05.12 6344
2830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7035
2829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53
2828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596
2827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64
2826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822
2825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53
2824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84
2823 딱따구리 바람의종 2009.05.21 10903
2822 이바지 바람의종 2009.05.24 5929
2821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70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