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23 14:56

추모, 추도

조회 수 1135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추모, 추도

33개의 추모석. 버지니아공대에서 추도식이 열리던 날, 희생자 32명 옆에 범인 조승희의 자리도 마련됐다. 한국이 집단적 책임의식에 빠져 있는 동안 미국인들은 슬픔을 딛고 용서와 자성의 깃발을 내걸고 있었다. 이제 우리 사회도 소외된 외톨이를 돌아보는 진정한 책임감을 발휘해야 할 때다.

죽은 사람을 그리며 생각하는 것을 '추모(追慕)', 죽은 사람을 생각해 슬퍼하는 것을 '추도(追悼)'라고 한다. "버지니아공대에는 총격 사건의 희생자를 추모하는 행렬이 이어졌다" "이번 참사 사건으로 숨진 캐빈 그라나타 교수의 장례식에는 가족과 친지 등이 모여 고인을 추도했다"와 같이 사용한다. 두 낱말 모두 고인을 생각하는 것이지만 쓰이는 상황이 꼭 같진 않다. '추모'는 사람을 그리는 데, '추도'는 죽음을 슬퍼하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상갓집에는 그를 추도하는 조문객으로 가득 찼다"처럼 지인들이 모여 장사를 지내는 장례식장 등에선 '추도하다'란 말이 어울린다.

그러나 "4.19혁명기념관에서 민주 열사를 추모하는 행사가 개최됐다" "충북 숭렬사에서 항일운동에 앞장섰던 이상설 선생의 추모식이 열렸다"처럼 훌륭한 인물이나 업적을 되새기기 위해 세운 기념관 같은 데서 후세 사람들이 고인을 기리는 것은 '추모하다'로 표현하는 게 자연스럽다. 죽음을 슬퍼하는 데 주안점이 있다면 '추도하다'를 써도 무방하지만 이러한 미묘한 의미 차이를 염두에 두고 사용하는 게 좋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9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6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446
3084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309
3083 사투리와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7.10.20 10255
3082 신병 바람의종 2007.10.21 7181
3081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895
3080 십팔번 바람의종 2007.10.22 7058
3079 외국어와 새말 바람의종 2007.10.22 10359
3078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45
3077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10149
3076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72
3075 촌지 바람의종 2007.10.25 8222
3074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905
3073 할증료 바람의종 2007.10.26 7651
3072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687
3071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256
3070 결초보은 바람의종 2007.10.27 10180
3069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296
3068 금수강산 바람의종 2007.10.28 10516
3067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182
3066 금지옥엽 바람의종 2007.10.31 8177
3065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359
3064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390
3063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2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