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23 14:54

윤중로

조회 수 1006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윤중로

1968년까지만 해도 여의도는 비행장을 제외하면 섬이라기보다는 홍수가 나면 물에 잠기는 큰 모래밭에 가까웠다. 67년 여의도개발계획이 세워지고 68년 밤섬 폭파를 시작으로 110일 만에 섬을 두르는 강둑을 쌓는 공사가 완공된다. 강둑은 '윤중제'로, 강둑을 따라 뻗은 도로는 '윤중로'로 명명됐다. 이렇게 해서 여의도가 본격 개발되고 윤중로에 심은 1400여 그루의 벚나무는 해마다 서울시민들에게 벚꽃의 향연을 베풀어 준다. 봄마다 펼쳐지는 여의도 벚꽃 잔치를 보통 '여의 윤중제(윤중로) 벚꽃 잔치'라 부른다.

그러나 '윤중제'라는 이름은 애초에 잘못된 것이다. '윤중제(輪中堤)'는 일본말인 '와주테이(わじゅうてい)'의 한자 표기를 우리 발음으로 읽은 것이다. '와주테이', 즉 '輪中堤'는 강섬을 둘러 쌓은 제방을 뜻하는 일본말이다. '윤중제'에서 한발 더 나아가 '윤중'만 따로 떼어내 그 길을 '윤중로'라 명명했으니 웃음이 나오는 일이다. 이것으로 끝나지 않고 학교에도 '윤중'이라는 이름이 붙어 '윤중초등학교' '윤중중학교'가 지금도 존재한다.

'윤중제'는 우리 식으로는 '방죽' 또는 '섬둑'이다. 86년 서울시 지명위원회는 '여의 윤중제'를 '여의 방죽'으로, '윤중로'는 각각 '여의도 서로' '여의도 동로' '국회 뒷길' 등으로 고쳐 쓰기로 했다. 98년엔 이들 공식 명칭을 새긴 도로명판이 설치됐다. 하지만 아직도 옛 이름을 그대로 부르는 사람이 많다. 일본의 잔재라고도 할 수 있는 '윤중제' '윤중로'라는 이름을 쓰지 말아야 한다. '윤중초등학교' '윤중중학교'라는 명칭도 어서 바꾸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4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0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883
2842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12.05.15 8697
2841 외래어의 된소리 표기 바람의종 2012.05.11 11472
2840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229
2839 뱃속, 배 속 바람의종 2012.05.10 7500
2838 개연성/우연성/필연성 바람의종 2012.05.10 10593
2837 퀘퀘하다, 퀴퀴하다, 쾌쾌하다 바람의종 2012.05.09 34417
2836 걸판지게 놀다 바람의종 2012.05.09 12267
2835 번번이 / 번번히 바람의종 2012.05.07 14670
2834 외래어 받침 표기법 바람의종 2012.05.07 16339
2833 입천장이 '데이다' 바람의종 2012.05.04 14241
2832 종군위안부 바람의종 2012.05.04 10652
2831 삼겹살의 나이 바람의종 2012.05.04 11979
2830 소담하다, 소박하다 바람의종 2012.05.03 13874
2829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32
2828 허리를 곧게 피다 바람의종 2012.05.03 11779
2827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58
2826 단어를 쪼개지 말자 바람의종 2012.05.02 11237
2825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708
2824 다 되다, 다되다 바람의종 2012.04.30 9053
2823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706
2822 쇠고기 바람의종 2012.04.30 10050
2821 유월, 육월, 오뉴월 바람의종 2012.04.23 138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