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23 14:54

윤중로

조회 수 10061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윤중로

1968년까지만 해도 여의도는 비행장을 제외하면 섬이라기보다는 홍수가 나면 물에 잠기는 큰 모래밭에 가까웠다. 67년 여의도개발계획이 세워지고 68년 밤섬 폭파를 시작으로 110일 만에 섬을 두르는 강둑을 쌓는 공사가 완공된다. 강둑은 '윤중제'로, 강둑을 따라 뻗은 도로는 '윤중로'로 명명됐다. 이렇게 해서 여의도가 본격 개발되고 윤중로에 심은 1400여 그루의 벚나무는 해마다 서울시민들에게 벚꽃의 향연을 베풀어 준다. 봄마다 펼쳐지는 여의도 벚꽃 잔치를 보통 '여의 윤중제(윤중로) 벚꽃 잔치'라 부른다.

그러나 '윤중제'라는 이름은 애초에 잘못된 것이다. '윤중제(輪中堤)'는 일본말인 '와주테이(わじゅうてい)'의 한자 표기를 우리 발음으로 읽은 것이다. '와주테이', 즉 '輪中堤'는 강섬을 둘러 쌓은 제방을 뜻하는 일본말이다. '윤중제'에서 한발 더 나아가 '윤중'만 따로 떼어내 그 길을 '윤중로'라 명명했으니 웃음이 나오는 일이다. 이것으로 끝나지 않고 학교에도 '윤중'이라는 이름이 붙어 '윤중초등학교' '윤중중학교'가 지금도 존재한다.

'윤중제'는 우리 식으로는 '방죽' 또는 '섬둑'이다. 86년 서울시 지명위원회는 '여의 윤중제'를 '여의 방죽'으로, '윤중로'는 각각 '여의도 서로' '여의도 동로' '국회 뒷길' 등으로 고쳐 쓰기로 했다. 98년엔 이들 공식 명칭을 새긴 도로명판이 설치됐다. 하지만 아직도 옛 이름을 그대로 부르는 사람이 많다. 일본의 잔재라고도 할 수 있는 '윤중제' '윤중로'라는 이름을 쓰지 말아야 한다. '윤중초등학교' '윤중중학교'라는 명칭도 어서 바꾸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5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2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113
2842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939
2841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693
2840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52
2839 바람의종 2009.05.06 7848
2838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704
2837 말 목숨 바람의종 2009.05.06 4634
2836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905
2835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394
2834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33
2833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813
2832 좌우 바람의종 2009.05.12 8065
2831 묵음시롱 바람의종 2009.05.12 6342
2830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7029
2829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51
2828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564
2827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64
2826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814
2825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45
2824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80
2823 딱따구리 바람의종 2009.05.21 10898
2822 이바지 바람의종 2009.05.24 5927
2821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9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