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115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지지배, 기지배, 기집애, 계집애, 임마, 인마

"어느 날 여고 시절 우연히 만난 사람/ 변치 말자 약속했던 우정의 친구였네/ 수많은 세월이 말없이 흘러…". 예전에 즐겨 듣던 '여고시절'이란 노래 가사다. 노래처럼 오랜만에 동창들을 만나면 학창 시절의 추억을 얘기하며 시간 가는 줄 모른다.

동창 사이에선 "기지배, 요즘 잘나간다며" "야 임마, 정말 오랜만이다"처럼 격이 없이 '기지배' '임마'라는 말을 주고받는다. 인터넷상에서도 '기지배' ' 임마'라는 말이 많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기지배' '임마'는 '계집애' '인마'가 바른 표현이다.

'임마'는 '인마'를 편리하게 발음하다 보니 생긴 것이며, '인마'는 '이놈아'가 줄어든 말이다. '인마'의 'ㄴ'은 '이놈아'의 'ㄴ'에서 온 것이다. '인마'가 '임마'로 발음되는 것은 'ㄴ' 뒤에 'ㅁ'이 올 때는 'ㄴ'보다 'ㅁ'으로 소리 내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신물, 근무, 논문'을 '심물, 금무, 놈문'으로 발음하는 게 편한 이치와 같다. 물론 표준발음대로 하려면 'ㄴ'을 정확하게 발음해야 한다. '인마'는 "야, 너 그런 눈으로 날 쳐다보지 마, 인마. 가끔가다가 네가 엄만지, 내가 엄만지 헷갈린단 말야"(공지영 '즐거운 나의 집')처럼 사용된다.

"기지배, 왜 연락 안 했니" "여우 같은 지지배" "참 이번 기집애는 어린 것이 여간 잔망스럽지가 않어"(황순원 '소나기')에서처럼 '기지배, 지지배, 기집애' 등으로도 쓰이지만 이들 또한 표준어는 아니다. '기지배'는 방언으로 취급하고 있으며, '지지배, 기집애'는 '계집애'가 맞는 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4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9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891
2776 진력나다, 진력내다 바람의종 2011.12.28 13403
2775 첫번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11.12.27 9634
2774 꺼려하다, 꺼리다 바람의종 2011.12.27 11556
2773 담합 = 짬짜미 / 짬짬이 바람의종 2011.12.27 9633
2772 하느라고, 하노라고 바람의종 2011.12.26 11058
2771 단추를 꿰매다 바람의종 2011.12.26 8889
2770 X-mas 바람의종 2011.12.26 13495
2769 추모, 추도 바람의종 2011.12.23 11328
2768 윤중로 바람의종 2011.12.23 10054
2767 푸른색, 파란색 바람의종 2011.12.23 10585
» 지지배, 기지배, 기집애, 계집애, 임마, 인마 바람의종 2011.12.22 21150
2765 건넛방, 건넌방 바람의종 2011.12.22 10766
2764 ‘팜므파말’ 바람의종 2011.12.22 13377
2763 버벅거리다 바람의종 2011.12.14 10818
2762 과중, 가중 바람의종 2011.12.14 10487
2761 수 표현 바람의종 2011.12.14 9996
2760 직빵, 약방문 바람의종 2011.12.13 10725
2759 나즈막한 목소리 바람의종 2011.12.13 12821
2758 단절, 두절 바람의종 2011.12.13 10177
2757 추근대다, 찝적대다 바람의종 2011.12.12 13344
2756 날 뭘로 보고! 바람의종 2011.12.12 10599
2755 버무르다, 버무리다 바람의종 2011.12.12 98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