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1234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 바루기] 지지배, 기지배, 기집애, 계집애, 임마, 인마

"어느 날 여고 시절 우연히 만난 사람/ 변치 말자 약속했던 우정의 친구였네/ 수많은 세월이 말없이 흘러…". 예전에 즐겨 듣던 '여고시절'이란 노래 가사다. 노래처럼 오랜만에 동창들을 만나면 학창 시절의 추억을 얘기하며 시간 가는 줄 모른다.

동창 사이에선 "기지배, 요즘 잘나간다며" "야 임마, 정말 오랜만이다"처럼 격이 없이 '기지배' '임마'라는 말을 주고받는다. 인터넷상에서도 '기지배' ' 임마'라는 말이 많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기지배' '임마'는 '계집애' '인마'가 바른 표현이다.

'임마'는 '인마'를 편리하게 발음하다 보니 생긴 것이며, '인마'는 '이놈아'가 줄어든 말이다. '인마'의 'ㄴ'은 '이놈아'의 'ㄴ'에서 온 것이다. '인마'가 '임마'로 발음되는 것은 'ㄴ' 뒤에 'ㅁ'이 올 때는 'ㄴ'보다 'ㅁ'으로 소리 내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신물, 근무, 논문'을 '심물, 금무, 놈문'으로 발음하는 게 편한 이치와 같다. 물론 표준발음대로 하려면 'ㄴ'을 정확하게 발음해야 한다. '인마'는 "야, 너 그런 눈으로 날 쳐다보지 마, 인마. 가끔가다가 네가 엄만지, 내가 엄만지 헷갈린단 말야"(공지영 '즐거운 나의 집')처럼 사용된다.

"기지배, 왜 연락 안 했니" "여우 같은 지지배" "참 이번 기집애는 어린 것이 여간 잔망스럽지가 않어"(황순원 '소나기')에서처럼 '기지배, 지지배, 기집애' 등으로도 쓰이지만 이들 또한 표준어는 아니다. '기지배'는 방언으로 취급하고 있으며, '지지배, 기집애'는 '계집애'가 맞는 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1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7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615
2952 지척 바람의종 2007.08.21 6943
2951 지지부진 바람의종 2010.08.17 11097
» 지지배, 기지배, 기집애, 계집애, 임마, 인마 바람의종 2011.12.22 21234
2949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306
2948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7149
2947 지양과 지향 바람의종 2010.08.07 12170
2946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10096
2945 지식생산, 동의함 風文 2022.07.10 1657
2944 지슬 風文 2020.04.29 1496
2943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601
2942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712
2941 지리한 -> 지루한 바람의종 2012.06.13 10531
2940 지리하다,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8.12.26 10877
2939 지리하다 바람의종 2009.07.31 9478
2938 지름길 바람의종 2007.03.27 6690
2937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7.03.27 9675
2936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700
2935 지도 편달 바람의종 2007.12.22 36045
2934 지다 바람의종 2010.08.15 11665
2933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753
2932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679
2931 지긋이, 지그시 바람의종 2008.11.13 104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