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14 16:34

수 표현

조회 수 999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 표현

'이팔청춘(二八靑春)'은 16살 무렵의 꽃다운 청춘, 또는 혈기 왕성한 젊은 시절을 일컫는다. 여기서 '16'을 한글로는 '열여섯'이라고 쓸 수 있다. 그러면 '열여섯'의 띄어쓰기는 어떻게 해야 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열여섯'으로 붙여 쓴다. 국어사전에는 '열여섯'이란 단어가 올라 있지 않다. '열여섯'이 합성어가 아니므로 '열 여섯'같이 띄어 써야 한다는 얘기다. 그런데 '열여섯'으로 붙여 쓰는 이유는 한글 맞춤법 제44항 때문이다.
 한글 어문 규정에 '수를 적을 때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쓴다'고 돼 있다. '십이억 삼천사백오십육만 칠천팔백구십팔'과 같이 쓰라는 얘기다. '열여섯'도 마찬가지다. 만 단위로 띄어 쓴다는 것은 만보다 작은 수일 경우에는 언제나 붙여 쓴다는 뜻이다. '열여섯'이 나이를 나타내는 '살'과 결합할 때는 '열여섯 살'처럼 띄어 쓴다. 그러나 아라비아숫자로 쓸 경우엔 띄어쓰기가 달라진다. '16 살/ 16살' 둘 다 가능하다.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된다. 아라비아숫자와 그 다음의 단위명사를 붙여 쓰는 현실을 수용한 결과다. 현실에서 '16살'같이 붙여 쓰는 경우가 더 많다.
그러면 '제2 차(제2차, 제 2차) 세계대전' 중에서 어떤 띄어쓰기가 맞을까? '제-'가 붙어 차례를 나타내는 경우의 띄어쓰기에서 많은 사람이 혼동한다. '제2 차(제2차) 세계대전'은 맞고, '제 2차 세계대전'은 잘못이다. 원칙은 '제-'는 접두사이므로 뒤에 오는 말에 붙여 쓰고, '차'는 의존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단, 아라비아숫자 다음의 단위명사는 붙여 써도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5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2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110
1984 나래, 내음, 뚝방길 바람의종 2009.03.16 8127
1983 뽀록나다 바람의종 2009.03.17 8244
1982 넉넉지/넉넉치 바람의종 2009.03.17 14609
1981 떠벌리다/떠벌이다 바람의종 2009.03.17 10685
1980 상서롭다/상스럽다 바람의종 2009.03.17 27951
1979 바람의종 2009.03.18 5211
1978 옳은 말씀 바람의종 2009.03.18 7877
1977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365
1976 아니예요 바람의종 2009.03.18 6745
1975 추파와 외도 바람의종 2009.03.18 7874
1974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17
1973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192
1972 바바리 바람의종 2009.03.23 7564
1971 ~까지, ~조차, ~마저 바람의종 2009.03.23 11586
1970 웃긴, 웃기는 바람의종 2009.03.23 8236
1969 주접떨다, 주접든다 바람의종 2009.03.23 18829
1968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33
1967 과반수 바람의종 2009.03.24 8315
1966 저 버리다, 져 버리다, 처 버리다 쳐 버리다 바람의종 2009.03.24 22272
1965 번지르한, 푸르른 바람의종 2009.03.24 7682
1964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404
1963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5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