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14 16:34

수 표현

조회 수 997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 표현

'이팔청춘(二八靑春)'은 16살 무렵의 꽃다운 청춘, 또는 혈기 왕성한 젊은 시절을 일컫는다. 여기서 '16'을 한글로는 '열여섯'이라고 쓸 수 있다. 그러면 '열여섯'의 띄어쓰기는 어떻게 해야 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열여섯'으로 붙여 쓴다. 국어사전에는 '열여섯'이란 단어가 올라 있지 않다. '열여섯'이 합성어가 아니므로 '열 여섯'같이 띄어 써야 한다는 얘기다. 그런데 '열여섯'으로 붙여 쓰는 이유는 한글 맞춤법 제44항 때문이다.
 한글 어문 규정에 '수를 적을 때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쓴다'고 돼 있다. '십이억 삼천사백오십육만 칠천팔백구십팔'과 같이 쓰라는 얘기다. '열여섯'도 마찬가지다. 만 단위로 띄어 쓴다는 것은 만보다 작은 수일 경우에는 언제나 붙여 쓴다는 뜻이다. '열여섯'이 나이를 나타내는 '살'과 결합할 때는 '열여섯 살'처럼 띄어 쓴다. 그러나 아라비아숫자로 쓸 경우엔 띄어쓰기가 달라진다. '16 살/ 16살' 둘 다 가능하다.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붙여 쓰는 것도 허용된다. 아라비아숫자와 그 다음의 단위명사를 붙여 쓰는 현실을 수용한 결과다. 현실에서 '16살'같이 붙여 쓰는 경우가 더 많다.
그러면 '제2 차(제2차, 제 2차) 세계대전' 중에서 어떤 띄어쓰기가 맞을까? '제-'가 붙어 차례를 나타내는 경우의 띄어쓰기에서 많은 사람이 혼동한다. '제2 차(제2차) 세계대전'은 맞고, '제 2차 세계대전'은 잘못이다. 원칙은 '제-'는 접두사이므로 뒤에 오는 말에 붙여 쓰고, '차'는 의존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단, 아라비아숫자 다음의 단위명사는 붙여 써도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2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8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795
1192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9971
» 수 표현 바람의종 2011.12.14 9978
1190 나절은 낮 시간의 절반 바람의종 2009.11.10 9980
1189 살찌다, 살지다 바람의종 2010.04.07 9982
1188 재원(才媛), 향년 바람의종 2009.05.30 9985
1187 침착하고 명확하게 바람의종 2010.07.19 9985
1186 그을리다와 그슬리다 바람의종 2010.09.04 9989
1185 폐하 바람의종 2007.09.09 9989
1184 을씨년스럽다 바람의종 2007.03.15 9994
1183 생때, 생떼 바람의종 2010.04.10 9997
1182 반증, 방증 바람의종 2008.09.30 10001
1181 다크호스 바람의종 2008.02.04 10002
1180 눈꼽, 눈쌀, 등살 바람의종 2008.10.13 10002
1179 고명딸 바람의종 2010.08.27 10006
1178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10014
1177 엄치미 개겁구마! 바람의종 2010.04.30 10015
1176 쇠고기 바람의종 2012.04.30 10016
1175 노랭이, 빨갱이 바람의종 2010.10.21 10023
1174 성급, 조급 바람의종 2012.08.30 10023
1173 오사리 잡놈 바람의종 2008.02.28 10026
117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10027
1171 빚쟁이 바람의종 2010.05.08 100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