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13 15:10

나즈막한 목소리

조회 수 1284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나즈막한 목소리

 "더 가까워지던 기분 나즈막한 목소리로 밤새 속삭이며, 지친 하루를 너에게 기대던 날들…." 가수 성시경의 '기억상자'라는 곡의 노랫말 중 일부다. '나즈막한 목소리'는 이렇게 사랑을 읊는 노랫말의 단골손님이다. 이처럼 '소리나 위치가 꽤 낮다'는 의미를 표현할 때 '나즈막하다' 또는 '낮으막하다'고 쓰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그러나 모두 잘못 사용되고 있는 말로 '나지막하다'고 해야 맞다.
이렇게 잘못 쓰는 이유는 '낮다'를 떠올리고 '낮은→낮으막' 또는 '낮은'의 발음 그대로 '나즌→나즈막'과 같이 연상해 쓰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지막하다'는 소리나 위치가 꽤 낮다는 뜻의 '나직하다'에서 온 말이므로 "나지막한 목소리로 사랑을 속삭이다" "구석에 나지막이 웅크렸다"처럼 써야 한다.
'나지막하다'는 반대말을 생각하면 헷갈리지 않고 쓸 수 있다. 위치가 꽤 높을 때는 "높지막이 연을 띄웠다" "아이의 손에 닿지 않도록 높지막한 선반 위에 과자를 올려놓았다"와 같이 '높지막하다'를 사용하지 '높즈막하다' '높으막하다'고는 쓰지 않기 때문이다. '높지막' '나지막'을 함께 기억해 두면 도움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3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9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788
2842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12.05.15 8697
2841 외래어의 된소리 표기 바람의종 2012.05.11 11472
2840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266
2839 뱃속, 배 속 바람의종 2012.05.10 7500
2838 개연성/우연성/필연성 바람의종 2012.05.10 10603
2837 퀘퀘하다, 퀴퀴하다, 쾌쾌하다 바람의종 2012.05.09 34454
2836 걸판지게 놀다 바람의종 2012.05.09 12270
2835 번번이 / 번번히 바람의종 2012.05.07 14671
2834 외래어 받침 표기법 바람의종 2012.05.07 16346
2833 입천장이 '데이다' 바람의종 2012.05.04 14256
2832 종군위안부 바람의종 2012.05.04 10653
2831 삼겹살의 나이 바람의종 2012.05.04 11998
2830 소담하다, 소박하다 바람의종 2012.05.03 13874
2829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32
2828 허리를 곧게 피다 바람의종 2012.05.03 11806
2827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58
2826 단어를 쪼개지 말자 바람의종 2012.05.02 11281
2825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708
2824 다 되다, 다되다 바람의종 2012.04.30 9053
2823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710
2822 쇠고기 바람의종 2012.04.30 10060
2821 유월, 육월, 오뉴월 바람의종 2012.04.23 138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