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13 15:08

단절, 두절

조회 수 1018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단절, 두절

무인도에 가져가고 싶은 세 가지는? 개인마다 대답은 다르겠지만 요즘 세대들은 단연 휴대전화를 꼽는다. 통신이 '두절'되지 않고 원활히 이뤄져야 한다는 조건이 전제돼야겠지만 '단절'된 세상과 연결해 주는 통로이자 무료함을 달래 주는 친구로 이보다 좋은 것도 없다고 여기기 때문이라고 한다. 무인도에 홀로 남게 된다면 모든 것으로부터 고립되게 마련이다. 이런 상황을 "외부 세계와 단절되다" "연락이 두절되다"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대개 '단절(斷絶)'은 유대.연관 관계가 끊어지거나 흐름이 연속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두절(杜絶)'은 교통.통신 등이 끊어지거나 막힌다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런데 이 두 단어를 바꿔 써도 의미가 통할까?
'두절' 대신 '단절'을 사용해도 무리가 없지만 '단절'이 올 자리에 '두절'을 쓰면 부자연스럽다. "''파리대왕''은 비행기 사고로 불시착한 무인도에서 문명과 두절된 채 생활하게 되는 소년들의 이야기다" "두 나라는 급기야 국교 두절을 선언했다" "역사는 두절되지 않고 끊임없이 반복된다"처럼 쓰면 어색한 문장이 된다. 모두 '단절'로 고쳐야 의미가 통한다.
 그러나 "지난밤에 내린 폭우로 뱃길이 모두 단절됐다" "정전 사태로 섬 전체가 외부와 교신이 단절된 상태다"와 같이 '두절' 대신 '단절'을 쓰는 것은 자연스럽다. '단절'은 '두절'이 쓰일 수 있는 곳을 포함해 폭넓게 사용되는 반면 '두절'은 교통.통신이 끊어진 때만 쓸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44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0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921
2820 건넛방, 건넌방 바람의종 2011.12.22 10787
2819 버벅거리다 바람의종 2011.12.14 10835
2818 과중, 가중 바람의종 2011.12.14 10502
2817 수 표현 바람의종 2011.12.14 10000
2816 직빵, 약방문 바람의종 2011.12.13 10756
2815 나즈막한 목소리 바람의종 2011.12.13 12846
» 단절, 두절 바람의종 2011.12.13 10188
2813 추근대다, 찝적대다 바람의종 2011.12.12 13369
2812 날 뭘로 보고! 바람의종 2011.12.12 10599
2811 버무르다, 버무리다 바람의종 2011.12.12 9833
2810 성대묘사 바람의종 2011.12.05 7733
2809 ~다오, ~주라 바람의종 2011.12.05 8352
2808 쌩얼, 민낯, 맨얼굴, 민얼굴 바람의종 2011.12.05 14698
2807 ~대, ~데 바람의종 2011.12.04 13131
2806 유돌이, 유도리 바람의종 2011.12.04 15776
2805 본따다 바람의종 2011.11.30 9777
2804 있사오니 / 있아오니 바람의종 2011.11.30 13145
2803 하꼬방 바람의종 2011.11.30 14551
2802 '꾀임'에 당하다 바람의종 2011.11.28 8920
2801 벽과 담 윤영환 2011.11.28 7293
2800 한마음 / 한 마음 바람의종 2011.11.27 13231
2799 암울과 우울 바람의종 2011.11.27 78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