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13 15:08

단절, 두절

조회 수 1019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단절, 두절

무인도에 가져가고 싶은 세 가지는? 개인마다 대답은 다르겠지만 요즘 세대들은 단연 휴대전화를 꼽는다. 통신이 '두절'되지 않고 원활히 이뤄져야 한다는 조건이 전제돼야겠지만 '단절'된 세상과 연결해 주는 통로이자 무료함을 달래 주는 친구로 이보다 좋은 것도 없다고 여기기 때문이라고 한다. 무인도에 홀로 남게 된다면 모든 것으로부터 고립되게 마련이다. 이런 상황을 "외부 세계와 단절되다" "연락이 두절되다"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대개 '단절(斷絶)'은 유대.연관 관계가 끊어지거나 흐름이 연속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두절(杜絶)'은 교통.통신 등이 끊어지거나 막힌다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런데 이 두 단어를 바꿔 써도 의미가 통할까?
'두절' 대신 '단절'을 사용해도 무리가 없지만 '단절'이 올 자리에 '두절'을 쓰면 부자연스럽다. "''파리대왕''은 비행기 사고로 불시착한 무인도에서 문명과 두절된 채 생활하게 되는 소년들의 이야기다" "두 나라는 급기야 국교 두절을 선언했다" "역사는 두절되지 않고 끊임없이 반복된다"처럼 쓰면 어색한 문장이 된다. 모두 '단절'로 고쳐야 의미가 통한다.
 그러나 "지난밤에 내린 폭우로 뱃길이 모두 단절됐다" "정전 사태로 섬 전체가 외부와 교신이 단절된 상태다"와 같이 '두절' 대신 '단절'을 쓰는 것은 자연스럽다. '단절'은 '두절'이 쓰일 수 있는 곳을 포함해 폭넓게 사용되는 반면 '두절'은 교통.통신이 끊어진 때만 쓸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9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57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258
2842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9037
2841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705
2840 수구리 바람의종 2009.05.04 7364
2839 바람의종 2009.05.06 7852
2838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751
2837 말 목숨 바람의종 2009.05.06 4667
2836 먹지 말앙 바람의종 2009.05.09 6905
2835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489
2834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72
2833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844
2832 좌우 바람의종 2009.05.12 8084
2831 묵음시롱 바람의종 2009.05.12 6353
2830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7040
2829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65
2828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639
2827 세밑 바람의종 2009.05.17 5774
2826 먹어 보난 바람의종 2009.05.20 7822
2825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70
2824 미사일 바람의종 2009.05.21 6784
2823 딱따구리 바람의종 2009.05.21 10903
2822 이바지 바람의종 2009.05.24 5932
2821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70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