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12 13:35

버무르다, 버무리다

조회 수 98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버무르다, 버무리다

봄은 어디서 오는가. 꽁꽁 언 땅을 뚫고 나와 바람결에 몸을 비비며 싱그러움을 내뿜기 시작한 봄나물들은 그 비밀을 알까. 겨우내 잃어버린 입맛을 돋우고 피로를 덜어 주는 것으로 알려진 봄나물은 데치고 무치고 버무려도 생명력을 잃지 않고 우리 밥상에 향긋한 봄을 전해 준다. 음식을 할 때 '여러 가지 재료를 한데 뒤섞다'는 뜻으로 '버무리다'라는 말을 많이 쓴다. 그런데 사람마다 이를 활용하는 방법이 제각각이다.
"새콤달콤한 초고추장은 돌나물.달래 등을 날로 버무르거나 냉이.두릅 등을 데쳐서 무쳐 먹을 때 좋다" "봄동으로 겉절이를 할 때는 소금에 절이지 말고 버물어야 더 맛있다"처럼 사용하고 있지만 모두 잘못 활용한 것이다.
'버무르다'나 '버물다'를 기본형으로 생각해 '버무르+거나' '버물+어야'처럼 쓰는 것으로 보이나 '버무리거나' '버무려야'라고 해야 어법에 맞다. '버무리다'만 표준어로 인정하기 때문에 "미나리에 생굴을 넣고 식초 양념에 버무려 먹으면 식욕을 되찾는 데 그만이다"와 같이 사용해야 한다.
'버무리다'의 피동사인 '버물리다'를 기본형으로 알고 "어머니가 달래전을 만들려고 송송 썬 달래에 새우살을 넣고 버물렸다"처럼 쓰는 사람도 있지만 동작의 주체가 직접 행동한 것이므로 '버무렸다'로 고쳐야 맞다.
'버무리다'에서 파생된 말로는 버무리(여러 가지를 한데 뒤섞어 만든 음식), 버무리떡(쌀가루에 콩.팥 등을 한데 섞어 찐 떡)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1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6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627
2226 인용 / 원용 바람의종 2009.09.07 9903
2225 뽀드락지 바람의종 2010.04.01 9902
2224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9901
2223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9895
2222 불편부당 바람의종 2010.08.14 9882
2221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876
2220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75
2219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869
2218 아스팔트와 아부라 바람의종 2010.01.22 9866
2217 다반사 바람의종 2010.09.03 9866
2216 발목이 접(겹)질려 바람의종 2009.06.17 9863
2215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9858
2214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857
2213 으악새 바람의종 2008.01.31 9856
2212 너댓개 바람의종 2008.12.10 9856
2211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854
2210 오랑우탄 아들 바람의종 2010.07.18 9852
2209 답습 바람의종 2007.06.24 9851
2208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9850
2207 아우라 바람의종 2010.03.08 9850
2206 고니 바람의종 2009.11.29 9845
2205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8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