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2.05 09:15

~다오, ~주라

조회 수 828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다오, ~주라

-그거 나 좀 다오.
-그거 쟤 좀 줘라.

위 문장에서 '다오'와 '줘라'는 둘 다 'give'의 뜻이다. 다만, '다오'는 어떤 것을 자기(화자)에게 주도록 요청하는 뜻을 나타내고, '줘라'는 남에게 주도록 요청하는 뜻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서로 다르다. 문제는 '다오'라는 말이 입말에서 세력을 잃어 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청장년 이하의 세대는 이 말을 실제 대화 장면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노년 세대가 활발히 사용하는 것도 아닌 듯하다. 우리가 이 말을 비교적 많이 접하는 것은 소설이나 드라마 등의 대화문이다(시대 배경이 현대일 때 화자는 대체로 노년층이다). 그렇다면 '다오' 대신 어떤 말이 쓰이고 있는가? 그것은 '줘, 주라'이다. '줘'는 '해'체이고, '주라'는 '해라'체라는 점에서 '다오'의 진정한 대응어는 '주라'이다('다오'는 '-오'로 끝나고 있지만 '하오'체가 아니라 '해라'체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규범론자들은 이러한 언어 현실을 도외시하고 '다오'만 맞고 '주라'는 틀린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제 '다오'와 '주라'를 복수로 인정할 때가 되었다.

안상순 (사전 편찬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34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8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825
114 '-화하다' / '-화시키다' 바람의종 2009.08.29 17897
113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7902
112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7930
111 귀추가 주목된다 바람의종 2007.12.28 17959
110 등용문 바람의종 2013.01.15 18010
109 육시랄 놈 바람의종 2008.02.29 18012
108 담배 한 까치, 한 개비, 한 개피 바람의종 2010.10.16 18026
107 하모, 갯장어, 꼼장어, 아나고, 붕장어 바람의종 2010.07.19 18125
106 환갑 바람의종 2007.10.06 18264
105 "드리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1 18412
104 박물관은 살아있다 바람의종 2012.11.30 18465
103 황제 바람의종 2012.11.02 18538
102 차후, 추후 바람의종 2012.06.15 18565
101 야단법석, 난리 법석, 요란 법석 바람의종 2012.06.11 18706
100 주접떨다, 주접든다 바람의종 2009.03.23 18753
99 초생달 / 초승달, 으슥하다 / 이슥하다, 비로소 / 비로서 바람의종 2011.11.15 18770
98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8920
97 빌려 오다, 빌려 주다, 꾸다, 뀌다 바람의종 2010.07.25 18940
96 학을 떼다, 염병, 지랄 바람의종 2010.02.09 19066
95 폭탄주! 말지 말자. 바람의종 2012.12.17 19105
94 알콩달콩, 오순도순, 아기자기, 오밀조밀 바람의종 2009.03.08 19211
93 널브러지다, 널부러지다, 너부러지다 바람의종 2010.06.16 192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