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30 16:40

본따다

조회 수 97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본따다

모방 심리가 강한 아이들은 부모의 행동을 따라 하게 마련이다. 유대인 속담에 배움은 흉내 내는 것에서 시작된다는 말도 있다. 백 마디 충고보다 부모의 바른 행동 하나가 자녀에게는 더 큰 가르침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무엇을 본보기로 삼아 그대로 좇아 하는 것, 또는 이미 있는 대상을 본으로 삼아 그대로 좇아 만드는 것을 이를 때 '본따다'고 하는 사람이 많다.

"어린 시절 그는 독서를 즐기던 아버지의 모습을 본따 서재에 앉아 눈썹을 치켜뜨고 책장을 넘기는 시늉을 하다가 책과 친해지게 됐다고 한다" "한글의 닿소리는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따고, 홀소리는 하늘과 땅과 사람을 본땄다"처럼 사용하고 있지만 '본떠, 본뜨고, 본떴다'로 고쳐 써야 맞다. '본따, 본따고, 본땄다' 등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은 '본따다'를 기본형으로 잘못 알고 있는 데서 오는 오류로 보인다. 그러나 '본(本)'에 '따다'가 아닌 '뜨다'가 합쳐진 '본뜨다'가 기본형으로, 용언의 어간 '으'가 '아/어' 앞에서 탈락하는 동사 '뜨다'와 같은 꼴로 활용된다.

"인간은 남의 행동에 맞춰 행동하도록, 대개 그들의 행동을 본뜨도록 진화해 왔다" "인기 있는 오락 프로그램의 상당수가 일본 방송을 본떠서 만들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의 그림은 옛 민화의 이미지를 본뜨고 그 위에 화려한 색깔을 덧입혔다"처럼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2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9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639
1830 우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0 9028
1829 실버 바람의종 2010.05.05 9026
1828 불은 라면 바람의종 2012.08.01 9025
1827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9024
1826 싸대기 바람의종 2010.07.19 9022
1825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9019
1824 대원군 바람의종 2007.06.24 9019
1823 승패, 성패 바람의종 2008.12.26 9019
1822 그것참 바람의종 2010.08.27 9018
1821 바람의종 2012.09.12 9017
1820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9010
1819 무릎노리 바람의종 2008.02.01 9009
1818 다정큼나무 바람의종 2008.05.01 9009
1817 실랑이 바람의종 2009.12.04 9007
1816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9006
1815 전농동과 설렁탕 바람의종 2008.03.15 9005
1814 불호령 風磬 2006.12.23 9005
1813 넥타 바람의종 2008.02.03 9002
1812 설레이다, 설레다 바람의종 2009.07.06 8999
1811 에프원(F1) 바람의종 2011.11.21 8997
1810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995
1809 ~하므로 ~함으로 바람의종 2008.07.17 89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