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30 16:40

본따다

조회 수 973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본따다

모방 심리가 강한 아이들은 부모의 행동을 따라 하게 마련이다. 유대인 속담에 배움은 흉내 내는 것에서 시작된다는 말도 있다. 백 마디 충고보다 부모의 바른 행동 하나가 자녀에게는 더 큰 가르침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무엇을 본보기로 삼아 그대로 좇아 하는 것, 또는 이미 있는 대상을 본으로 삼아 그대로 좇아 만드는 것을 이를 때 '본따다'고 하는 사람이 많다.

"어린 시절 그는 독서를 즐기던 아버지의 모습을 본따 서재에 앉아 눈썹을 치켜뜨고 책장을 넘기는 시늉을 하다가 책과 친해지게 됐다고 한다" "한글의 닿소리는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따고, 홀소리는 하늘과 땅과 사람을 본땄다"처럼 사용하고 있지만 '본떠, 본뜨고, 본떴다'로 고쳐 써야 맞다. '본따, 본따고, 본땄다' 등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은 '본따다'를 기본형으로 잘못 알고 있는 데서 오는 오류로 보인다. 그러나 '본(本)'에 '따다'가 아닌 '뜨다'가 합쳐진 '본뜨다'가 기본형으로, 용언의 어간 '으'가 '아/어' 앞에서 탈락하는 동사 '뜨다'와 같은 꼴로 활용된다.

"인간은 남의 행동에 맞춰 행동하도록, 대개 그들의 행동을 본뜨도록 진화해 왔다" "인기 있는 오락 프로그램의 상당수가 일본 방송을 본떠서 만들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의 그림은 옛 민화의 이미지를 본뜨고 그 위에 화려한 색깔을 덧입혔다"처럼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2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81
1258 여간 쉽지 않다 바람의종 2012.09.20 9754
1257 연합전술로 패했다 바람의종 2010.07.30 9757
1256 괴다와 사랑하다 바람의종 2008.02.02 9758
1255 박쥐 바람의종 2009.10.28 9767
1254 꾸물꾸물한 날씨,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09.11.10 9768
1253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771
1252 유해 식품, 위해 식품 바람의종 2009.11.08 9773
1251 높임말 바람의종 2009.11.24 9776
1250 비듬나물 바람의종 2009.02.21 9777
1249 ~으로 / ~을 알고 있다 바람의종 2010.01.09 9781
1248 동생과 아우 바람의종 2010.06.16 9789
1247 버무르다, 버무리다 바람의종 2011.12.12 9794
1246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795
1245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바람의종 2008.04.22 9795
1244 사뭇 / 자못 바람의종 2010.03.12 9795
1243 귀지하다 바람의종 2008.02.15 9797
1242 금싸래기 땅 바람의종 2012.01.08 9797
1241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800
1240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806
1239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814
1238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14
1237 사리 바람의종 2011.11.11 98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