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30 16:38

있사오니 / 있아오니

조회 수 13098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있사오니 / 있아오니

철도역이나 관공서, 대형 할인점 등에 가면 "승차권을 임시 매표소에서 발급하고 있아오니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공지사항을 게재해 안내하고 있아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굴비세트를 선착순으로 할인판매하고 있아오니 서두르십시오" 등의 문구를 볼 수 있다. 이렇듯 공고문이나 안내장에서 '있아오니'라는 단어가 종종 나오는데 이는 표기법상 옳지 않다. '있사오니(있으오니, 있으니)'라고 써야 한다. 우리말에서 '-사오-, -으오-, -으니'라는 어미는 있지만 '-아오-'라는 어미는 없기 때문이다.

'있사오니'를 분석하면 '있(다)+사오+니'의 형태다. 여기서 '-사오-'는 예스러운 표현으로, 자신의 진술을 겸양해 나타내는 어미다. '읽으오니, 잡으오리다'같이 서술이나 의문에 공손함을 더해 주는 어미'-으오-'보다 더 겸양의 뜻을 나타낸다. '-니'는 앞말이 뒷말의 원인이나 근거, 전제 따위가 됨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다.

"당신을 믿사오니 힘내세요"에서 '믿사오니'를 '믿아오니'라고 쓰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런데 '있사오니'에서는 어간 '있'의 받침이 'ㅆ'이어서 뒤에 다시 'ㅅ'이 오면 중복되는 느낌이 있어 '있아오니'로 잘못 쓰고 있는 것 같다.

'-사오-'처럼 겸양을 나타내는 어미로는 ''삽-(밥을 먹삽고/ 그 사람을 믿었삽더니)' '-자오-(듣자오니/ 받자와/ 묻자와)' '-잡-(스승의 뜻을 좇잡나이다/ 폐하의 명을 받잡고)' '-옵-(가시옵소서/진지 드시옵소서/저를 불러 주시옵소서)' 등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5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0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02
2732 꽁수, 꼼수, 뽀록나다 바람의종 2010.02.09 9742
2731 꽃 피라 바람의종 2011.11.25 9185
2730 꽃다지 바람의종 2008.02.23 7771
2729 꽃무릇 바람의종 2008.04.21 6064
2728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47
2727 꽈리 바람의종 2007.12.30 10642
2726 꽝꽝나무 바람의종 2008.06.14 6523
2725 꽝포쟁이 바람의종 2008.03.25 7891
2724 꾀하다, 꽤, 꿰고 바람의종 2009.03.31 10417
2723 꾸물꾸물한 날씨,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09.11.10 9768
2722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257
2721 꿩의바람꽃 바람의종 2008.06.19 6452
2720 꿰매다, 시치다 바람의종 2008.11.25 7757
2719 뀌띰, 괜시레 바람의종 2008.12.17 9674
2718 끄적, 끼적, 깔짝, 깨작 바람의종 2010.05.30 12342
2717 끊기다 바람의종 2011.05.01 12277
2716 끊을래야/끊으려야, 뗄래야/떼려야, 먹을래야/먹으려야 바람의종 2008.06.05 9946
2715 끌끌하다 바람의종 2008.02.16 9691
2714 끝발, 끗발 바람의종 2010.03.17 15621
2713 끼여들기 바람의종 2008.10.31 9018
2712 끼치다와 미치다 바람의종 2011.05.01 12708
2711 나, 본인, 저 윤안젤로 2013.04.03 241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