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30 16:38

있사오니 / 있아오니

조회 수 13139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있사오니 / 있아오니

철도역이나 관공서, 대형 할인점 등에 가면 "승차권을 임시 매표소에서 발급하고 있아오니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공지사항을 게재해 안내하고 있아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굴비세트를 선착순으로 할인판매하고 있아오니 서두르십시오" 등의 문구를 볼 수 있다. 이렇듯 공고문이나 안내장에서 '있아오니'라는 단어가 종종 나오는데 이는 표기법상 옳지 않다. '있사오니(있으오니, 있으니)'라고 써야 한다. 우리말에서 '-사오-, -으오-, -으니'라는 어미는 있지만 '-아오-'라는 어미는 없기 때문이다.

'있사오니'를 분석하면 '있(다)+사오+니'의 형태다. 여기서 '-사오-'는 예스러운 표현으로, 자신의 진술을 겸양해 나타내는 어미다. '읽으오니, 잡으오리다'같이 서술이나 의문에 공손함을 더해 주는 어미'-으오-'보다 더 겸양의 뜻을 나타낸다. '-니'는 앞말이 뒷말의 원인이나 근거, 전제 따위가 됨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다.

"당신을 믿사오니 힘내세요"에서 '믿사오니'를 '믿아오니'라고 쓰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런데 '있사오니'에서는 어간 '있'의 받침이 'ㅆ'이어서 뒤에 다시 'ㅅ'이 오면 중복되는 느낌이 있어 '있아오니'로 잘못 쓰고 있는 것 같다.

'-사오-'처럼 겸양을 나타내는 어미로는 ''삽-(밥을 먹삽고/ 그 사람을 믿었삽더니)' '-자오-(듣자오니/ 받자와/ 묻자와)' '-잡-(스승의 뜻을 좇잡나이다/ 폐하의 명을 받잡고)' '-옵-(가시옵소서/진지 드시옵소서/저를 불러 주시옵소서)' 등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2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7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660
2732 샅샅이 風磬 2006.12.29 6535
2731 별명 바람의종 2008.12.17 6536
2730 백정 바람의종 2007.07.11 6536
2729 말다듬기 바람의종 2008.01.10 6541
2728 켄트지 바람의종 2009.07.23 6551
2727 살망졍이 바람의종 2009.07.26 6551
2726 시간, 시각 바람의종 2008.11.16 6555
2725 고도쇠 바람의종 2009.08.03 6556
2724 꽝꽝나무 바람의종 2008.06.14 6557
2723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59
2722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560
2721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561
2720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574
2719 “돈이 남으십니다” 바람의종 2010.10.11 6576
2718 '대'와 '선' 바람의종 2010.01.19 6579
2717 한통속 바람의종 2007.04.23 6591
2716 새해 인사 바람의종 2008.06.03 6594
2715 쥐꼬리망초 바람의종 2008.06.22 6599
2714 괭이눈 바람의종 2008.03.01 6602
2713 무더위 바람의종 2009.02.17 6606
2712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609
2711 메뚜기 바람의종 2008.01.02 66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