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27 16:07

한마음 / 한 마음

조회 수 1313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마음 / 한 마음

ㄱ. 한동네, 한마음, 한목소리, 한집안

위에 예시한 단어들은 모두 '한'과 결합하여 이뤄진 복합어이다. '한'은 본래 하나를 뜻하는 수관형사인데 그 의미가 확장되어 '같은'의 뜻을 지니게 되었다. 그리하여 '한동네'는 하나의 동네가 아니라 '같은 동네'를 뜻하고, '한마음'은 '하나의 마음'이 아니라 '같은 마음'을 뜻한다.

그런데 표준국어대사전은 그 뜻에 따라 '한'의 문법적 성질을 달리 규정하고 있다. 즉, '하나'를 뜻할 때에는 관형사, '같은'을 뜻할 때에는 접두사로 구별하였다. 이러한 처리는 얼핏 그럴듯해 보이지만 다분히 문제를 안고 있다. 접두사는 예외 없이 다음 낱말과 붙여 써야 하는데, '한'의 경우에는 그렇게 하기 어려울 때가 더 많기 때문이다.

가령, '한 공장, 한 자동차, 한 학교, 한 회사' 등에서는 '한'이 '같은'의 뜻일 때라도 다음 말과 붙여 쓰기 어렵다. 실제로 이 말들은 ㄱ의 경우와 달리 사전의 표제어로도 올라 있지 않다. 이는 한 단어가 아님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은 뜻의 분화와 상관없이 언제나 관형사로만 보는 것이 타당하다. ㄱ의 경우는 파생어(접두사+명사)가 아니라, 합성어(관형사+명사)로 보는 것이 옳다. 이는 '새'가 접두사가 아닌 관형사임에도 '새날, 새댁, 새바람, 새순'의 합성어를 만드는 것과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2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8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49
3040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230
3039 줄여 쓰는 말 바람의종 2007.11.07 10902
3038 사발통문 바람의종 2007.11.08 9035
3037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609
3036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942
3035 사십구재 바람의종 2007.11.09 6996
3034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934
3033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230
3032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460
3031 사주단자 바람의종 2007.11.10 11737
3030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687
3029 삼척동자 바람의종 2007.12.12 6831
3028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973
3027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489
3026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39
3025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46
3024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279
3023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177
3022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48
3021 아비규환 바람의종 2007.12.14 7390
3020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772
3019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3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