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27 16:07

한마음 / 한 마음

조회 수 13142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마음 / 한 마음

ㄱ. 한동네, 한마음, 한목소리, 한집안

위에 예시한 단어들은 모두 '한'과 결합하여 이뤄진 복합어이다. '한'은 본래 하나를 뜻하는 수관형사인데 그 의미가 확장되어 '같은'의 뜻을 지니게 되었다. 그리하여 '한동네'는 하나의 동네가 아니라 '같은 동네'를 뜻하고, '한마음'은 '하나의 마음'이 아니라 '같은 마음'을 뜻한다.

그런데 표준국어대사전은 그 뜻에 따라 '한'의 문법적 성질을 달리 규정하고 있다. 즉, '하나'를 뜻할 때에는 관형사, '같은'을 뜻할 때에는 접두사로 구별하였다. 이러한 처리는 얼핏 그럴듯해 보이지만 다분히 문제를 안고 있다. 접두사는 예외 없이 다음 낱말과 붙여 써야 하는데, '한'의 경우에는 그렇게 하기 어려울 때가 더 많기 때문이다.

가령, '한 공장, 한 자동차, 한 학교, 한 회사' 등에서는 '한'이 '같은'의 뜻일 때라도 다음 말과 붙여 쓰기 어렵다. 실제로 이 말들은 ㄱ의 경우와 달리 사전의 표제어로도 올라 있지 않다. 이는 한 단어가 아님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은 뜻의 분화와 상관없이 언제나 관형사로만 보는 것이 타당하다. ㄱ의 경우는 파생어(접두사+명사)가 아니라, 합성어(관형사+명사)로 보는 것이 옳다. 이는 '새'가 접두사가 아닌 관형사임에도 '새날, 새댁, 새바람, 새순'의 합성어를 만드는 것과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02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934
3040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1875
3039 위드 코로나, 아이에이이에이 風文 2022.10.05 1880
3038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1881
3037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1884
3036 눈으로 말하기 / 언어와 민주주의 風文 2020.07.08 1895
3035 ‘평어’를 쓰기로 함, 심심하다 風文 2022.11.23 1900
3034 문어발 / 징크스 風文 2020.07.02 1917
3033 오징어 1 / 오징어 2 風文 2020.07.01 1959
3032 역겨움에 대하여, 큰일 風文 2022.09.22 1995
3031 방언 분투기 / 국민 정서 風文 2020.07.12 1999
3030 ‘○○○ 의원입니다’ / ‘영업시운전’ 風文 2020.06.22 2000
3029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2004
3028 쳇바퀴 탈출법(1~3) 風文 2022.10.01 2030
3027 배제의 용어, '학번' / '둠벙'과 생태계 風文 2020.07.10 2035
3026 황금시간 / 우리말 속 일본어 風文 2020.06.11 2048
3025 프레임 설정 風文 2022.02.06 2068
3024 찜갈비-갈비찜 / 영란은행 風文 2020.06.07 2088
3023 ‘엘씨디로’ / 각출-갹출 風文 2020.05.06 2093
3022 ‘쫓다’와 ‘쫒다’ 風文 2023.07.01 2106
3021 건강한 가족 / 국경일 한글날 風文 2020.07.18 2143
3020 삼인칭 대명사 / '동양'과 '서양' 風文 2020.07.06 2148
3019 '사과'의 참뜻 / 사람의 짓 風文 2020.07.14 21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